김대중 전남교육감호의 일반직과 교육직 첫인사가 보은·졸속논란으로 시끄럽다./전남도교육청
김대중 전남교육감호의 일반직과 교육직 첫인사가 보은·졸속논란으로 시끄럽다./전남도교육청

김대중 전남교육감호의 일반직과 교육직 첫인사가 보은·졸속 논란으로 시끄럽다.

10일 전남교육청과 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최근 전남도교육청이 전남교육 대전환을 위한 정책의 효율적 수행과 성과를 극대화하겠다며 주요보직 21명에 대해 9월 1일자 인사를 단행했다.


덧붙여 도교육청은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적임자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대중교육감 당선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진 A씨가 교육직의 꽃인 교육국장 자리를 꿰찬 것이다.

A씨는 교장경력이 6개월에 그치고 교육장 경력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본청에서 장학사와 장학관을 역임하며 주로 학교폭력업무를 담당해왔다.


김대중 교육감의 한 측근조차 <머니S>와 인터뷰에서"정책기획과장 정도였으면 수긍이 가는 인사였을 텐데"라며 A씨의 파격 인사에 고개를 갸웃거렸다.

이밖에도 이번 인사에서 A씨 이외에도 교육장 4명이 인사발령 6개월만에 자리를 옮긴 것. 또 정년퇴직 1년을 남겨둔 모 교육장과 산하기관장이 보직을 받는 등 졸속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달 15일 김대중 교육감 첫인사인 일반직 정기인사에서 비리혐의로 좌천됐던 B씨가 인사업무를 총괄하는 총무과장에 기용돼 내부반발을 샀다.

B씨는 전남도교육청 개청 이래 최대 비리로 불리는 롤스크린 관급공사 수주비리에 연루돼 징계를 받았다. 시설과장도 전문성이 결여된 행정직이 발탁되는 졸속인사가 이어졌다.

이에 대해 교육청 노조는 성명을 내고 "일반직공무원 보직관리규정에 징계처분자는 하급지 전보를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6급 이하 하위직에게만 해당이 되는 것인지 묻고 싶다"고 신임 총무과장을 겨냥하기도 했다.

시설과장에 대해서는 "전남 대부분의 학교는 건축된 지 30~50년이 넘어 노후화가 심각한 상태이기 때문에 고도의 전문적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라며 "다년간의 학교 시설물을 설치 및 유지 관리한 경험이 있는 전문직렬을 배제하고 타 직렬을 보직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한바 있다.

전남교육계에서도 김 교육감의 파격 보은인사에 쓴소리를 토해내고 있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개청이래 최대의 졸속인사다. 인사란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 기본 틀까지 무너뜨리는 인사는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이번 인사는)파격·보은 졸속 발탁인사 그 자체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