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 사기 대처법에 대한 관심이 모이고 있다. 사진은 당근마켓 앱./사진=머니투데이 DB
당근마켓 사기 대처법에 대한 관심이 모이고 있다. 사진은 당근마켓 앱./사진=머니투데이 DB

#. A씨는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에 명품시계를 판다는 글을 올렸다. 구매 의사를 밝힌 B씨는 A씨와의 직거래 현장에서 시계를 한 번 착용해봐도 되느냐고 요청했다. 시계를 받은 B씨는 그 자리에서 갑자기 도망쳤다. 당황한 A씨는 다시 앱을 켰으나 B씨는 당근마켓을 탈퇴한 후였다.

A씨의 사례처럼 당근마켓에서 사기를 당했다면 무엇부터 해야 할까. 사건 발생 시 다른 것보다 곧바로 경찰서에 신고하는 것이 좋다. 현행법상 사기죄 신고는 피해자가 직접 신고해야 한다.


당근마켓 관계자는 "사기를 저지른 범죄자가 당근마켓을 탈퇴한 경우에도 수사 지원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당근마켓 월간이용자수(MAU)가 1800만명을 넘어섰다. '당근'으로 대표되는 중고거래가 늘어나면서 관련 사기 거래도 급증하고 있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집계를 시작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총 55만4564건, 2899억7300만원의 중고거래 사기가 일어났다.


당근마켓은 메시지를 신고할 수 있다./사진제공=당근마켓
당근마켓은 메시지를 신고할 수 있다./사진제공=당근마켓

당근마켓은 가입 시 전화번호를 등록하게 된다. 탈퇴한 경우에도 관련 법령 및 개인정보처리 방침에 따라 계정 정보와 대금결제, 재화의 공급에 대한 정보를 5년 동안 보관하고 있다.

범죄가 발생한 경우 신고 접수 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전화번호, 거래내용, 추적을 위한 계좌번호 등의 수사에 필요한 정보 제공을 통해 위법 행위에 대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밀착 공조를 진행하고 있다.

범죄자가 탈퇴한 경우에도 신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사기 범죄의 경우 1건이라도 적발 시 영구 제재 조치가 가해진다. 제재된 이용자는 프로필과 채팅 화면 상단에 붉은색 경고 표시 배너가 나타난다.

경찰에 신고 접수된 사기 이력이 있는 전화번호나 계좌번호 정보를 공유하거나 선입금 택배 거래 등을 요구할 경우 경고 메시지가 띄워진다.

당근마켓 관계자는 "선제적 대비로 사기 피해를 미리 예방하고 원천봉쇄하기 위해 여러 조치를 마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