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
-
삼성SDS가 실적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내부거래 비중이 80%를 웃도는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새 정부가 공정경제를 기조로 내세우는 가운데 내부거래 규제에 강경한 입장을 보여온 주병기 서울대 교수가 공정거래위원장에 내정되면서 삼성SDS 안팎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삼성SDS는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과 비교해 5.8% 는 7조17억원,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1.6% 증가한 489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 가운데 삼성전자 등 특수관계자와의 내부거래가 5조6906억원으로 비중은 81.2%에 달한다. 매출 대부분이 그룹 계열사 거래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내부거래 비중은 매년 80%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전체 매출 13조8282억원 가운데 특수관계자 매출은 11조1047억원으로 80.3%였다. 2023년에는 86.5%(13조2768억원 중 11조4910억원), 2022년에는 80.6%(17조2347억원 중 13조8865억원)에 달했다. 외형은 2025.08.19
-
경영 일선에 복귀한 이해진 네이버 창업주가 올해 상반기 16억원을 수령했다. 최수연 대표는 총보수 25억5000만원을 받았다. 이해진 창업주는 지난 3월 네이버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 뒤 올해 상반기 급여 7억7000만원, 상여 7억6000만원을 합쳐 약 15억9800만원을 수령했다. 같은 달 임기 만료로 유럽사업개발 대표직에 물러난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퇴직금 영향으로 상반기 네이버 연봉킹에 올랐다. 네이버는 이 창업주의 상여금은 지난해 글로벌투자책임자(GIO)로서 성과를 기준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한다. 이사회로부터 부여받은 글로벌 투자 업무에 주력해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 기여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급했다는 것이다. 내각에 입성한 한 장관은 급여 3억7500만원, 상여 3억4200만원, 퇴직소득 40억3800만원 등 총 52억2300만원을 받았는데 지난 3월 유럽사업개발 대표 임기가 끝나 임원 퇴직금을 받았다.최수연 대표는 급여 4억5000만원, 상여 20억6 2025.08.14
-
올해 상반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가장 많은 보수를 수령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올해 상반기 보수총액으로 26억3600만원을 수령했다. 급여 7억7000만원, 상여 18억2000만원, 기타 근로소득 4600만원이다. 여기에 김양섭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급여 2억4000만원, 상여 6억4000만원, 기타 근로소득 300만원을 포함해 총 8억8300만원을 받았다. 유 대표의 뒤는 김영섭 KT 대표가 이었다. 김 대표는 상반기 보수로 14억3700만원을 수령했는데 급여가 2억7800만원, 상여 11억5100만원, 기타 근로소득 800만원이다. 서창석 KT 부사장은 같은 기간 급여 1억9900만원, 상여 3억6100만원, 기타 근로소득 700만원을 합쳐 5억6700만원을 받았다. 홍범식 대표는 통신 3사 대표 중 보수가 가장 적었다. 올해 상반기 보수로 7억1400만원을 수령했고 기본급으로 월 2025.08.14
-
삼성화재는 올 상반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1% 감소한 1조2475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매출액은 12조9633억원으로 전년 동기(11조337억원) 대비 17.5% 늘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조6039억원으로 4.5% 감소했다.보험손익은 1조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1% 줄었다. 장기보험에선 보험계약마진(CSM) 총량 확대로 상각액이 늘어났지만 보험금 예실차 축소 여파로 손익이 줄었다.신계약 CSM 성장으로 CSM 잔액은 5007억원 늘어난 14조5776억원으로 집계됐다.일반보험 부문에서는 최근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고액 사고 발생이 잦아져 전년 대비 8.3% 감소한 1068억원을 기록했다. 자동차보험 손익은 307억원으로 79.5% 급감했다.원수보험료는 보장성 장기보험이 6조2989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5조7721억원) 대비 9.1% 증가했다. 다만 저축성 장기보험은 476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5647억원) 대비 15 2025.08.13
-
컴투스는 12일 올해 2분기 실적을 공시하고 연결 기준 매출 1848억원, 영업이익 14억원을 기록하며 2024년 1분기 이후 6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고 밝혔다.주력 게임들의 안정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전년 대비 매출은 6.8%, 영업이익은 0.1% 증가했다. 또한 2025년 상반기 누적 실적은 매출 3528억원, 영업이익 30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6.7%, 20% 성장했다.글로벌 히트작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이하 서머너즈 워)"는 출시 11주년 관련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꾸준한 글로벌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신작 추가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한 야구 게임 라인업은 국내외 프로야구 시즌 개막 효과 등에 힘입어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고른 성과를 보이며 2분기 해외 매출 비중은 약 67%를 기록했다.컴투스는 하반기에도 기존작의 성과를 이어가는 동시에 다양한 신작 출시를 통해 성장 모멘텀을 확대할 계획이다."서머너즈 워"는 지난 7월 2025.08.12
-
컴투스홀딩스는 올해 2분기 주춤했지만 하반기 대작 및 다양한 신작 출시로 실적을 개선할 계획이다. 컴투스홀딩스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273억원, 영업적자 22억원, 당기순손실 6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28% 줄었으며 영업적자는 44.5% 개선됐다. 스테디셀러 타이틀로 자리잡은 "소울 스트라이크"가 저력을 보이면서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이 게임은 글로벌 유명 IP와 컬래버레이션을 지속하며 해외 매출 비중이 70%에 달했다. 3분기에는 대작 MMORPG "아레스"를 대만·홍콩·마카오 시장에 출시한다. 국내에서 게임성과 흥행성이 입증된 게임으로 대만 시장에서도 인기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지 유저들 취향에 맞게 콘텐츠를 가다듬고 대만 쇼케이스 및 유명 크리에이터 협업 등 현지화 전략으로 흥행을 도모한다. 메트로배니아 장르의 액션 RPG "페이탈 클로"는 PC 및 콘솔 플랫폼으로 4분기 글로벌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다. 몰입감 높은 스토리, 비주얼, 사운 2025.08.12
-
위메이드가 올해 2분기 부진한 실적을 냈지만 하반기부터 신작 출시를 통해 반등에 나선다. 위메이드는 8일 올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보다 약 32% 하락한 1168억원,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285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손실은 약 283억원이다. 상반기 누적 매출은 약 2587억원, 영업손실은 약 399억원이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한 결과 반기 기준 영업적자는 전년과 비교해 약 219억원 줄며 규모가 축소됐다.올해 1분기 국내에 출시한 "레전드 오브 이미르", "로스트 소드" 등의 신작 효과가 줄어들고 기존 게임 매출도 감소했다. 하반기에는 "미르의 전설2·3" 중국 라이선스 매출이 반영되고 다양한 신작 출시도 예정돼 있어 작년에 이어 연간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위메이드는 IP 및 플랫폼 다변화 전략을 기반으로 준비 중인 신작 게임들을 통해 매출원 확대와 실적 개선에 속도를 낸다. 올 하반기 출시 예정작인 "레전드 오브 이 2025.08.08
-
LG유플러스가 올해 2분기 시장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달성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과 비교해 10% 증가한 3조8444억원,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9.9% 증가한 3045억원이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LG유플러스 2분기 실적을 매출 3조6815억원, 영업이익 2786억원으로 전망했다.실적 개선 배경으로는 자원의 효율적 재배치, AI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 및 상품 차별화, 견조한 가입자 성장을 통한 안정적인 매출 확대 등이 꼽힌다. 이로써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실적 턴어라운드를 달성하며 두 분기 연속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가게 됐다.마케팅비용은 단말기 판매량 증가에 따라 지난해 대비 3.5% 늘어난 5401억원을 기록했다. 서비스수익대비 마케팅비용 비중은 전년 동기와 유사한 19.2%로 효율적인 집행을 이어가고 있다. CAPEX(설비투자)는 지난해 2분기에 비해 29.4% 감소한 3933억원을 집 2025.08.08
-
카카오가 올해 2분기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카카오는 연결 기준 2025년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1% 증가한 2조283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2분기 영업이익은 1859억원으로 전년보다 39% 늘었다.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모두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사업 부문별로 보면 올해 2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 늘어난 1조 552억원으로 집계됐다.플랫폼 부문 중 톡비즈 매출액은 전년 대비 7% 증가한 5421억원을 기록했다. 이 중 톡비즈 광고의 2분기 매출은 3210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4% 증가했다. 비즈니스 메시지 매출이 16% 늘었는데 다양한 메시지 템플릿으로 광고주들이 보낼 수 있는 메시지 종류와 활용 범위를 확장하고 있어 중장기적 매출 성장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선물하기와 톡딜 등 톡비즈 커머스 매출은 2212억원으로 전년과 견줘 10% 증가했다. 이는 선물하기를 통해 나에게 선물하는 자기구매 건수가 증가한 덕분이다 2025.08.07
-
하이브가 소속 아티스트들의 성공적인 월드투어와 견고한 음반원 성적에 힘입어 올해 2분기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경신했다.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하이브 매출은 7056억원으로 종전 2분기 최대 기록이었던 지난해 같은 기간(6405억원)보다 10.2% 증가했다. 직전 분기 대비로는 41% 상승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59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29%, 직전 분기 대비 205% 성장했다. 영업이익률은 7.9%에서 9.3%로 1.4%포인트(p) 올랐다.전체 매출 중 아티스트 활동과 직결된 직접 참여형 매출은 4479억원이었다. 공연 부문 매출은 1887억원으로 전년보다 31% 급증하며 성장을 주도했다. 2분기 하이브 뮤직그룹 아티스트들의 월드투어와 팬 콘서트에는 약 180만명의 팬들이 함께했다. 음반원 부문 매출은 2286억원으로 전년과 견줘 8.4% 소폭 감소하며 최근 K-팝 음반 판매량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시장 상황 속에서도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했다.음반 부문에선 방탄소 202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