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정치테러대책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민주당 정치테러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전 위원장은 '이재명 대표 살해 미수사건'에 대한 재수사와 '테러'지정을 촉구했다. /사진=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국정원에게 이재명 대통령의 민주당 대표 시절 일어난 피습사건 은폐의혹을 제대로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은 23일 이종석 국정원장 등 국정원 면담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민주당 대표 시절 피습 사건에 대한 국정원 축소·은폐 시도 진상조사를 요구했다.


전현희 최고위원이 위원장을 맡은 민주당 정치테러대책위원회는 이날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을 통해 "전날 이종석 국정원장과 관련 실무자를 만났다"며 "이재명 당시 당대표 암살시도, 살인미수 사건에 대한 국정원 차원의 축소·은폐 시도와 관련해 진상조사를 요구하고 강력히 항의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이재명 당시 대표에 대한 정치테러 살인미수 사건은 제1야당 대표이자 가장 유력한 대통령 후보자를 겨냥해 9개월간 치밀하게 준비된 정치적 암살 시도이고, 이는 국가의 기능을 마비시키기 위한 것으로 테러방지법 제2조가 규정한 테러임이 명백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 하에서의 국무총리실 산하 대테러센터와 국정원 등 국가기관은 이 사건을 테러방지법상 '테러'로 지정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사건을 축소·왜곡하고 현장 증거를 인멸하는 등 사건의 진실을 은폐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국정원에 국정원 차원의 자체 조사뿐 아니라, 국무총리실 산하 대테러센터와 함께 적극적인 진상조사에 임하고, 이 사건을 즉시 테러사건으로 지정하는 등 올바른 판단을 내릴 것을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대책위는 김상민 전 국정원장 법률특별보좌관이 당시 사건과 관련해 '커터칼 살인미수 사건'이라는 피습 사건 법률검토 보고서를 작성한 데 대해서는 "허위보고서 작성 경위와 배후, 그리고 명백한 위법사항에 대해 적극적인 감찰을 실시할 것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이같은 대책위 요구에 "진상파악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답했다고 한다. 김 전 특보에 대해서는 "전 국정원장의 자문역에 불과한 자로서 국정원의 공식적인 법적 판단을 내리거나 국정원의 입장을 대변할 수 없는 자"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책위는 "지난 정부 국정원은 권한 없는 김상민 특보를 통해 이 사건을 축소·은폐하려 했음이 밝혀졌다"며 "수많은 의혹들을 해소하고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이재명 전 대표에 대한 암살시도, 살인미수 사건을 테러로 지정하고 관련 의혹에 관한 전면적인 재수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무총리실을 향해서는 "정부합동테러대책위원회를 즉각 개최하고 이재명 당시 민주당 대표이자 전 대통령 후보에 대한 김진성 등의 가덕도 테러암살 사건을 테러방지법에 따른 테러사건 규정에 즉각 착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