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대공원 사자 사육사' 12일 오후 서울 광진구 능동 어린이대공원 맹수마을 사자 우리에 사육사 김모씨(53)의 피가 묻어있다. /사진=뉴스1 |
12일 서울 능동 어린이대공원에서 사육사 김모씨(53)가 암수 사자 두 마리에 물려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경찰은 김씨가 방사장에 사자가 있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들어갔다가 사고를 당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날 어린이대공원은 동료직원이 맹수마을 사자 방사장에 들렀다가 다리 등 온몸 여러 군데를 물린 채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는 김씨를 발견해 119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의식이 없는 채로 발견됐고, 즉시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숨지고 말았다. 맹수사 근무 3년 차인 김 씨는 동물원 근무 경력이 20년이나 되는 베테랑 사육사였다.
이재용 어린이대공원 동물복지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사육사를 공격한 사자는 정확하게 두 마리로 2006년생 수컷 한 마리와 2010년생 암컷 한 마리”라고 전했다.
대공원 측에 따르면 이 사고는 오후 1시 반 대공원이 사자 등 맹수를 상대로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일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은 종이 장난감이나 고깃덩어리로 사자를 유인해 흥미를 유발하는 방식으로 약 20분간 진행된다.
김씨는 프로그램을 끝낸 뒤 방사장을 정리하기 위해 우리에 들어갔다가 변을 당한 것으로 추측된다.
13일 경찰에 따르면 어린이대공원 맹수마을 사자사 내실을 비추는 폐쇄회로(CC)TV를 분석한 결과, 사육사가 사고를 당하기 전 내실에는 사자 두 마리의 모습만 희미하게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방사장 뒤 4개의 내실에는 총 네 마리의 사자가 들어가 있어야 했는데 내실 CCTV에는 두 마리밖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자들은 내실 문이 열리면 방사장에서 내실 안으로 이동하도록 훈련돼 있고, 사육사는 사자들을 내실로 몰고 문을 잠근 뒤 방사장에 들어가 청소 등을 하게 돼 있다.
이재용 어린이대공원 동물복지팀장은 “(김 씨 발견 당시) 사자들이 들어가 있어야 할 내실 문 4개 중 가장 좌측 문이 열려 있었다”고 전했다.
경찰은 김씨가 사자 네 마리 모두 내실 안으로 들어간 것으로 착각하고 청소를 하려고 방사장에 들어갔다가 변을 당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경찰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CCTV에 대한 정밀 분석에 나서는 한편 서울시설공단 직원 등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