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ICTK 홀딩스와 함께 '물리적 복제 방지기능(PUF)' 적용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세계 최초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ICTK 홀딩스와 함께 '물리적 복제 방지기능(PUF)' 적용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세계 최초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ICTK 홀딩스와 함께 '물리적 복제 방지기능(PUF)'을 적용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세계 최초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PUF-eSIM은 일명 '반도체 지문'(Inborn ID)을 활용해 보안을 강화하는 PUF(Physical Unclonable Function) 기술과 가입자 인증 기능을 하나의 칩셋 형태로 구현한 것이다. PUF-eSIM는 인증키와 데이터를 암호화해 디바이스 부팅 시 위·변조된 펌웨어 실행을 차단하고 디바이스-서버간 E2E 보안 통신을 강화한다. 

작은 크기도 PUF-eSIM의 특징이다. PUF-eSIM의 크기는 6㎟(가로 2㎜ x 세로 3㎜)로, 이는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나노 유심(Nano-USIM, 약 108 ㎟)의 1/18 수준이다. 제작단가도 기존 eSIM 대비 30% 절감한다. 이에 웨어러블/산업용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LG유플러스는 PUF-eSIM을 공공분야에 확산시키기 위해 국가공인 보안인증인 암호모듈검증(K-CMVP) 획득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담당은 "LG유플러스는 무선 IoT 사업영역 전반에 PUF-eSIM을 확대하고 가격경쟁력 또한 극대화할 수 있도록 폭 넓은 보급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정원 아이씨티케이홀딩스 대표는 "PUF기반의 신뢰점(Root of Trust)이라는 글로벌 표준을 선도해가는 기업과 유플러스가 함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