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이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최종 지정되면 우리나라 최초 천연기념물 나무화석이 된다. 사진은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 /사진=문화재청 제공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이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최종 지정되면 우리나라 최초 천연기념물 나무화석이 된다. 사진은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 /사진=문화재청 제공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나무화석 중 가장 큰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이 천연기념물이 된다.

4일 문화재청은 높이 10.2m, 폭 0.9∼1.3m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나무화석 중 가장 큰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을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은 지난 2009년 포항 남구 동해면 금광리의 국도우회도로(일원~문덕) 건설을 위한 발굴조사 현장에서 부산대학교 김항묵 교수팀에 의해 발견됐다. 이후 지난 2011년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원으로 옮겨져 3년 동안 이물질 제거·약품 도포·파편 접합 등의 보존 처리 후 국립문화재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 수장고 내에 보관됐다.

신생대 나무화석은 전 세계의 나무화석과 견줘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다수의 옹이와 나뭇결, 나이테 등 화석의 표면과 단면이 거의 원형 상태로 잘 보존됐다. 이를 통해 2000만년 전 한반도의 식생과 퇴적 환경을 이해할 수 있다.

대형 나무화석은 해외에서도 천연기념물 또는 국가공원 등으로 지정해 보호하는 소중한 자연유산이다.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이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최종 지정되면 우리나라 최초 천연기념물 나무화석이 된다.


문화재청은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에 대해 30일 동안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