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졸중으로 쓰러졌던 '새 박사' 윤무부 경희대 생물학과 명예교수가 자신의 사망설을 부인하며 근황을 전했다. 지난 11일 방송된 MBN '특종세상'에는 '새 박사' 윤무부 교수가 출연했다.
윤무부는 17년 전 강원도에서 새를 보다가 뇌경색으로 쓰러졌다. 그는 "2006년도에 강원도 철원에서 새 보다가 추워서 뇌경색이 왔다. 메스껍고 토할 것 같고 어지러우면 약 먹으면 되는데 그날은 약이 안 들었다. 응급실에 가니까 의사가 너무 늦었다고 했다"라며 "뇌경색은 3시간 이내에 와야 고치는데 나는 3일 만에 가니까 의사들이 고개를 흔들었다. 의사가 와서 장례 준비를 하라고 했다"라고 밝혔다.
당시 윤무부는 온몸에 마비가 와서 말을 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아내는 "한 5년 동안 힘들었다"라며 예민해진 윤무부를 케어했던 시절을 회상했다. 시한부 선고를 받았던 윤무부는 기적적으로 일어났다. 윤무부는 "뇌경색에 걸리면 회복이 어렵다. 거의 낫지 않는다. 나는 새 때문에 죽어라고 운동을 했다. 새를 봐야 한다. 나는 새 없으면 못 산다. 그래서 (재활을)을 열심히 했다"라고 이야기했다.
윤무부는 우측 편마비 증상에도 전동차를 타고 새를 보러 다녔다. 한 손과 입, 턱 등으로 카메라를 휠체어 삼각대에 고정시키고 새, 꽃 사진을 찍으며 여전한 열정을 드러냈다.
윤무부는 "새가 있으면 배가 안 고프다. 저녁 먹으면 된다. 촬영할 땐 안 먹는다. 새 기회를 놓치면 안된다"라며 놓치지 않고 후투티를 촬여해 눈길을 끌었다. 윤무부는 후투티가 자신의 첫사랑이라고 말했다. 윤무부는 "새는 나한테 생명과 같다. 나는 새와 함께 살 거다. 새 없이는 살 수 없다"라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윤무부는 김애경을 만났다. 방송을 통해 인연을 맺은 두 사람. 뇌졸중 투병 이후 처음 윤무부를 처음 만난 김애경은 "너무 깜짝 놀랐다. '지금 잘 지내고 계시나' 걱정도 됐다"라고 이야기했다. 윤무부는 "아내 없으면 못 나온다"라며 아내를 향한 고마움을 얘기했다. 김애경은 "얼마나 힘드시겠냐. 새도 소중하지만 진짜 소중한 분은 아내다. 간병을 남이 해주면 얼마나 대충 해주겠냐"라며 아내에게 마음을 표현하라고 제안했다.
제작진과 인터뷰에서 윤무부는 "나는 항상 마누라다. 죽을 때까지 나와 함께. 너무 좋다"라고 애정을 드러냈다. 아내는 "자기 좋아하는 거 찾아다니고 자기 일 열심히 하니까 좋은 사람이다"라며 남편을 이야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