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경기 침체가 심화되면서 건설업 취업자 수가 1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최근 취업자 수가 41개월 연속 증가하는 등 양호한 고용지표를 보인 것과는 상반된 결과다.
하반기도 건설업 업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건설업 고용 한파가 전체 고용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건설업 취업자는 201만4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만1000명(-3.9%) 감소했다. 이 같은 수치는 2013년 7월 이후 1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수치다.
올해 1월만 해도 전년 보다 7만3000명 증가했던 건설업 취업자는 2월 3만6000명에서 3월 2만2000명, 5월 5000명으로 증가폭이 줄어들더니 5월에는 4만7000명으로 감소폭이 크게 벌어졌다.
이어 6월에도 6만6000명 줄어든 뒤 3개월 째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건설 수주 둔화가 시차를 두고 건설업 고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당분간 건설업 일자리 반등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건설업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8.1시간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시간 증가했다. 건설업 일자리는 줄었지만 건설업 종사자들이 일을 한 시간은 늘었다는 의미다.
정부는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지자 건설업 일자리 지원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신속 추진하고 다음달 공사비 안정화 대책도 마련하기로 했다.
당분간 건설업 업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전직 지원도 강화한다. 건설업 상용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위해 휴업이나 휴직 등 고용유지조치 시 고용유지지원금도 하루 최대 6만6000원으로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방안' 신속 추진하고 9월 내 '공사비 안정화 대책' 마련 등 건설일자리 수요 보완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건설 일용근로자 맞춤 현장형 고용서비스 제공과 특별고용지원업종에 준하는 수준으로 훈련 지원 강화 등 일감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근로자에 대한 전직과 생계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정부는 건설업체의 위기로 고용 감소가 심화되는 경우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적극 검토하고 추가적인 지원방안을 발굴해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