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서울 관악·동작 전세사기 피해자들의 최소보장·다중주택 확실한 매입 요청 등을 촉구 기자회견 모습./사진=뉴스1
지난해 8월 서울 관악·동작 전세사기 피해자들의 최소보장·다중주택 확실한 매입 요청 등을 촉구 기자회견 모습./사진=뉴스1

경기도가 '전세사기' 위험지역 주의보 지도 안내 시스템 도입 등 '경기 안전전세 프로젝트 2.0'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2025년 경기도 토지정보 분야 계획을 마련하고 부동산 거래질서 교란 행위자 고강도 수사 진행 등 토지정보 분야 8대 전략 90개 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주요 전략은 공정한 토지정책 실현, 신뢰받는 지적제도 정착, 건전·투명한 부동산거래시장 조성, 부동산 시장질서 구축이다. 또한, 생활밀접 투기사범 집중 수사, 공간정보 융·복합 스마트한 정책 지원, 촘촘한 주소정보 구현·주소정보 활성화 사업, 지적재조사 사업의 안정적 추진·활성화도 포함한다.

주요 추진 내용으로 '전세사기' 피해예방을 위해 3만여 공인중개사와 '안전전세 길목 지킴 운동'과 도-시군-협회 합동으로 구성된 '안전전세 관리단'을 지난해에 이어 지속해 운영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참여 공인중개사무소 부동산 플랫폼 공개, 안전전세 프로젝트 리뷰 시스템 도입, 전세사기 위험지역 주의보 지도 안내 시스템 도입 등 강화한 '경기 안전전세 프로젝트 2.0'을 추진한다.

또한, 부동산 중개보수 지원 서민 주거를 안정화 하고, 문화재 공간정보를 제작해 시각적·지리적 정보기록으로 문화재를 보존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부동산 공시가격 검증지원센터 도입을 위한 시범 연구사업과 건축물 위치 사전 확인측량 제도화, 공간정보시스템 활용 지적측량 성과관리를 추진한다.


이계삼 도 도시주택실장은 "토지정보의 모든 업무는 도민의 재산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공간정보는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며 "토지정보가 더욱 가치있는 정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