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미국의 권위 있는 자동차 전문 매체 '오토모티브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룹의 비전과 모빌리티 산업의 방향성 등에 대한 폭 넓은 의견을 제시했다.
21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이번 인터뷰는 최근 해당 매체가 정주영 창업회장·정몽구 명예회장·정의선 회장 등 3대 경영진을 '100주년 기념상'(Centennial Award) 수상자로 발표하면서 게재된 특집 기사 보도에 이어 진행됐다.
정 회장은 "(앞으로)고객 경험이 완전히 새롭게 바뀔 것"이라며 차세대 모빌리티 혁신의 핵심으로 SDV(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와 AI(인공지능) 융합을 제시했다.
정 회장은 "마력'에서 '프로세싱 파워'(processing power)로 모빌리티 전환이 이뤄지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전동화가 파워트레인을 재정의 했다면 소프트웨어는 제품 개발과 차 아키텍처부터 사용자 상호작용과 비즈니스 모델에 이르기까지 밸류체인 전체를 재정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파트너십 전략에 대해서도 방향성을 제시했다. 정 회장은 "이제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때 파트너십을 맺는다"고 주장했다.
현대차그룹의 경쟁력으로는 혁신 DNA와 고객 중심 경영을 꼽았다. 정 회장은 "혁신은 현대차그룹의 DNA에 내재돼 있고 가장 중요한 성공 측정의 척도는 항상 고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탄소중립 달성 계획도 제시했다. 정 회장은 "탄소 중립은 단순한 목표가 아니라 책임이고 2045년까지 탄소 순 배출 제로를 달성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소에 대해서도 "세계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해결책 중 하나로 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