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0만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인기 먹방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이른바 '사이버레커' 피해와 관련해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기를 바란다"고 토로했다.
지난 14일 쯔양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방미통위)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사이버레커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사이버레커란 유명인 이슈를 악의적으로 편집해 수익을 올리는 유튜버를 뜻한다.
이날 국감에서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사이버레커가 매우 심각한 사안인데, 쯔양과 같은 유명인뿐 아니라 일반 시민이 비슷한 피해를 보았다면 대응이 정말 어려웠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쯔양은 사이버레커 유튜버로 알려진 '구제역' 등에게 협박당해 수천만원을 갈취당한 바 있다. 수원지법은 구제역에게 항소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지난달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 대표 김세의씨에 대해 쯔양을 비방하고 협박한 혐의 등으로 검찰에 넘겼다.
사이버레커 문제에 대해 쯔양은 "(협박을 당할) 당시 심정은 정말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만큼 굉장히 두렵고 많이 막막한 상황이었다. 솔직히 그들(사이버레커)의 보복이 두려워서 아무것도 대응할 수 없었고 소송조차도 할 수도 없었다"고 털어놨다.
유튜브나 정부 기관 등에 어떤 식으로 도움받았느냐는 질문에는 "유튜브나 플랫폼에서는 유튜버가 직접 이용하는 신고 절차를 이용했다"면서 "쉽지 않았다. 영상 확산 속도는 굉장히 빠르고 하루 만에 수십만명의 사람이 보기 때문이다. 이미 영상을 사람들이 보고 나서는 지워지는 절차가 이뤄지더라도 오해를 풀기가 굉장히 어렵게 된다. 보통 짧게는 수일이 걸리고 길게는 아예 지워지지 않았던 영상들도 있다"고 답했다.
쯔양은 "일반 시민분들, 직장인이나 학생분들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대응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생업을 하시면서 (소송 등) 비용을 마련하시기도 어려울 것이고, 피해를 당해서 병원을 다니시는 상황일 수도 있다"며 "제가 이 자리에 온 것은 제가 겪은 피해를 바탕으로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기를 바라면서 나왔다. 이 자리에 계신 의원님들과 전문가분들께서 꼭 사회에 필요한 제도를 만들어 주시기를 바라는 마음"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