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이미지투데이 |
쏟아지는 졸음을 참으며 경기를 보는 것은 좋지만, 예상치 못한 복병이 있다. 매일 늦게 잠드는 것만으로도 살이 찌기 쉬운 상태로 변한다는 것. 안재현 365mc 대표병원장의 도움말로 자세히 알아봤다.
◆서커디언 리듬 깨지며 비만해지기 쉬운 상태로
밤에는 잠이 오고 해가 드는 아침에 잠에서 깨고, 수면 상태에는 배고프지 않다가 낮에는 4~6시간 간격으로 ‘꼬르륵’ 소리가 난다. 이처럼 24시간 간격의 규칙적인 몸의 변화는 ‘서카디안 리듬’(Circadian)에 따른 것이다. 서카디안 리듬은 뇌 속 시계 유전자가 만들어내는 생체리듬으로 우리말로는 ‘일주기 리듬’이라고 한다.
서카디안 리듬은 일출·일몰에 맞춰 22~25시간을 기준으로 작동한다. 상황에 맞게 인체의 호르몬·효소 분비량을 조절하고, 혈압·체온을 높이기도 낮추기도 한다. 문제는 밤시간 스마트폰이나 TV 사용 시 디지털 기기에서 나오는 '눈부신 빛'이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면서 서카디안 리듬을 깨뜨린다는 것이다.
안재현 대표병원장은 “서카디언 리듬이 깨지면 스트레스호르몬인 코르티솔 분비가 불규칙해져 스트레스 조절이 안 된다"며 "식욕을 관장하고 체지방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렙틴호르몬 작용 시스템 역시 망가져 신진대사가 더뎌지고 단백질·지방 분해가 잘 안돼 살이 찔 확률이 높아진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연구결과 올빼미족 여성은 아침형 인간보다 허리둘레가 약 25% 정도 더 두껍고, 체지방량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수면부족에 야식 더해지면 ‘비만 콤보’
이미 서카디안 리듬이 깨진 상태에 ‘야식’이라는 폭격기가 떨어지면 살이 더 쉽게 찌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다.
살찌기 싫은 사람은 축구 등 운동경기 관람 시 ‘음식’을 조심해야 한다. 경기를 보며 생각 없이 음식을 먹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의외로 많은 양을 섭취하기 쉽다. 특히 밤경기를 보며 선택하는 메뉴는 대개 고칼로리라 더 위험하다. 야간에는 인체가 에너지를 비축하려는 경향이 있어 낮 시간에 비해 당분 비축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밤에 섭취하는 음식량이 많으면 소화가 더뎌 위장에 부담을 주기 쉽고 심한 경우 위염·식도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경기를 볼 때 출출하다면 칼로리가 적은 야채스틱, 육포, 견과류 등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맥주가 떠오른다면 무알코올 맥주나 당질이 적은 것으로 한 캔 정도만 마시자. 안재현 대표병원장은 “무엇보다 신체리듬을 유지하려면 잠이 부족하더라도 아침 기상시간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야밤에 맥주나 탄산음료 등 교감신경을 활발히 만드는 기호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교감신경계가 지나치게 작용하면 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이 높아질 수 있다. 기대하던 스포츠 경기를 보는 것 자체만으로도 교감신경이 활성화하는데, 여기에 교감신경을 과열시키는 술, 담배, 카페인 음료는 피하는 게 좋다.
수면 부족으로 깨진 신체리듬은 다음날 메뉴 선택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하자. 실제로 1854명의 성인을 아침형, 올빼미형 두집단으로 나눠 비교 연구한 결과 올빼미형은 아침형에 비해 설탕과 탄수화물, 지방 함량이 높고 섬유질 함량은 낮은 음식을 찾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역시 렙틴호르몬 분비와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