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가 전 도민 1인당 10만원씩 지급하는 재난기본소득(재난지원금)의 효과로 설 전 8000억 이상 소비가 이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설을 앞두고 소비경제와 골목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자료제공=경기도 |
경기도는 3일 "재난지원소득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이틀만에 2000억 원 이상 풀렸다"며 "이런 포인트도 벌써 경기도는 2일만에 2000억원 이상 풀린것으로 이는 곧 소비경제 활성화 예측 이는 현금이 아닌 강제적 소비형으로 사용기한 3개월이 정해진 지역화폐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도에 따르면 경기도 재난지원소득 신청대상자는 총 1343만8238명인데, 출생년도 끝자리에 따른 5부제를 운영해 한 요일에 2개 생년(3일은 생년 끝나리 3, 8)이 신청할 수 있다. 대략 하루 268만7647명이 신청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또 도는 재난지원소득 신청 첫날 84만명이 신청했으며, 둘째 날인 전날은 신청자 수가 100만명을 웃돌 것으로 내다 봤다. 하루에 100만명 이상 접수한다고 보면 하루에 대상인원 대비 40%이상 신청하게 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신청 러시에 도 관계자는 "도민들이 설 전에 재난기본소득을 지원받아 설 경비로 소비하고자 하는 마음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며 "설전에 지원받아 설 경비로 소비하고자 하는 맘을 읽을수 있다"고 했다.
경기도는 "경기도와 일부 지방정부의 보편지급 등이 없었다면 살얼음 골목경제로 민심이 흉융할것"이라며 "설전 지급으로 소상공인들에게 큰도움이 될것"이라고 전했다. 경기도의 보편지급이 하지 않았거나 미뤄졌더라면 경기도라는 대한민국 1/4로 그 역할과 비중으로 보아 명절민심에 작용하여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란 의미로 풀이된다.
"이런 현상 등이 경기도에서는 2월1일 지급개시가 골든 타임이라 말하는 것"이며 "이는 재난기본소득 또는 재난지원금을 지급해야 하는 이유로 이는 곧 소비로 귀결되어 찬바람 불고 있는 소비경제와 골목경제에 훈풍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도의 시행 배경이다.
명절대목 특수와 설명절이후 소비활성화로 설 특수라는 말이 있지만, 코로나로 인한 이동자제 등으로 소비경제는 빨간불이다. 하지만 경기도는 최소 7000~8000억원 이상 소비될것으로 경기도는 예상(계획대비 60%이상 소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