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4일 최근 불거진 골목상권 침해 논란 등에도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세우며 분기 기준 처음으로 네이버 매출을 넘어서는 기염을 토했다. 사진은 카카오 사옥(왼쪽)과 네이버 사옥의 모습. /사진제공=카카오, 네이버
카카오가 4일 최근 불거진 골목상권 침해 논란 등에도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세우며 분기 기준 처음으로 네이버 매출을 넘어서는 기염을 토했다. 사진은 카카오 사옥(왼쪽)과 네이버 사옥의 모습. /사진제공=카카오, 네이버
카카오가 4일 플랫폼 사업과 콘텐츠 부문의 상승세에 힘입어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세우며 분기 기준 처음으로 네이버 매출을 넘어섰다. 아울러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 콜에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면서 메타버스 대체불가토큰(NTF) 등과 관련해 미래 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4일 올해 3분기 매출이 전년보다 58% 증가한 1조7408억원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네이버 3분기 매출 1조7273억원을 뛰어넘는 수치다. 다만 영업이익은 1682억원을 기록하며 네이버 영업이익 3498억원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플랫폼 부문 매출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주며 전년보다 35% 증가한 7787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톡 기반 톡비즈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8% 늘어난 4049억원을 기록했다. 비즈보드, 카카오톡 채널 등 광고형 매출의 안정적 성장과 함께 톡스토어, 선물하기 등이 균형있게 성장했다.


신사업인 콘텐츠 부문(스토리+게임+미디어+뮤직) 매출은 이번 카카오의 3분기 최대 실적 달성을 이끌었다. 전년동기 대비 무려 84%나 증가해 9621억원을 기록했다. 이 중 스토리 매출은 플랫폼과 IP(지식재산권) 유통 거래액의 견조한 성장과 함께 타파스와 래디쉬 편입으로 전년보다 47% 증가해 2187억원을 벌어들였다. 

게임 매출은 4631억원으로 양대 마켓에서 1위를 달성한 모바일 게임 '오딘'의 기록적인 흥행으로 전분기 대비 260%, 전년보다 208% 뛰었다. 뮤직 매출은 전년보다 8% 증가한 1971억원, 미디어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02% 증가한 831억원으로 나타났다. 

카카오 "골목상권 논란, 초심 돌아가는 계기… 메타버스 준비하고 NFT 전략 수립할 것"



카카오는 최근 논란에 대해 사과하며 새로운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4일 컨퍼런스 콜에서 골목상권과의 상생의지를 드러냈다. /사진제공=카카오
카카오는 최근 논란에 대해 사과하며 새로운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4일 컨퍼런스 콜에서 골목상권과의 상생의지를 드러냈다. /사진제공=카카오
이어 카카오는 최근 논란에 대해 사과하며 새로운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4일 컨퍼런스 콜에서 골목상권과의 상생의지를 드러냈다. 글로벌 시장에서 흥행 중인 웹툰과 게임 등 콘텐츠 외에 기술 기반의 신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할 계획도 공유했다.

여 대표는 이날 최근에 불거진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카카오를 둘러싼 논란은 카카오와 카카오 공동체로 하여금 초심으로 돌아가는 계기가 됐다"면서 "카카오는 파트너들과 ‘함께 나아가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 것을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메타버스와 NFT 모두 카카오 공동체 안에서 준비하고 있다. 해외 사업의 베이스캠프 역할을 할 법인 크러스트를 지난 3월 싱가포르에 설립했고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과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한 사업도 구상 중이다. AI를 활용한 글로벌 신사업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