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영상을 공유하는 플랫폼 '틱톡'(TikTok)에도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계정이 신설됐다. 사진은 '북한에서의 삶'(northkoreanlife)이라는 틱톡 계정 사이트(왼쪽)와 해당 계정에 올라온 북한 아침 산책길의 모습. /사진=틱톡
짧은 영상을 공유하는 플랫폼 '틱톡'(TikTok)에도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계정이 신설됐다. 사진은 '북한에서의 삶'(northkoreanlife)이라는 틱톡 계정 사이트(왼쪽)와 해당 계정에 올라온 북한 아침 산책길의 모습. /사진=틱톡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숏폼(짧은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 계정이 신설됐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16일(현지시각) "지난 10일 틱톡에는 '북한에서의 삶'(northkoreanlife)이라는 이름의 계정이 신설됐다"고 보도했다.


첫 게시물은 평양을 찍은 17초짜리 동영상으로 이 영상은 올라온 지 5일 만에 약 38만2000명이 시청했다. 가장 인기 있는 게시물은 '북한에서 아침 산책'이라는 제목의 영상으로 이날 기준 조회수는 약 1850만회를 기록했다. 해당 계정은 신설된 지 3일 만에 약 100만개의 '좋아요'를 받았고 이틀 후에는 약 200만개로 늘었다. 지금까지 올라온 영상의 조회수는 수백만 회에 달한다.

지난 2014년 탈북해 미국에 거주 중인 이현승 글로벌피스재단 연구원은 "틱톡에 북한 일상에 대한 영상이 올라오는 것은 처음"이라며 "북한의 내부 사정이 어렵다는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한 선전용 계정일 수 있다"고 평했다. 그는 해당 계정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북한 내부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운영하는 것이라 해도 계정에 올라가는 영상들은 북한 당국의 검열을 거쳐야 온라인에 게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미 민간연구단체 스팀슨센터의 마틴 윌리엄스 연구원은 "과거 북한에 관광을 다녀온 여행객의 영상일 수도 있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그는 "대부분의 영상은 버스에서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전에 북한을 다녀온 관광객이 운영하는 계정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영상에 등장하는 북한 주민들은 실내외에 상관 없이 아무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

윌리엄스 연구원은 "북한에 사는 개인이 이러한 계정을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며 "북한 당국이 게재한 영상이라면 영상의 내용이 계정에 올라온 영상과는 많이 다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유튜브에서는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계정들을 통해 평양에 거주하는 '송아' '유미' 등의 일상 영상들이 연일 게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