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달에 6만원대로 서울시의 모든 대중교통을 자유롭게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가 누적 100만장 판매를 기록했다. 기후동행카드로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는 이들은 평일 기준 50만명 을 넘어섰다.
서울시는 이 같은 호응에 앞으로 신용·체크카드 결제, 문화시설 할인, 관광용 단기권 도입 등을 통한 지속적인 서비스 확충을 약속했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1월27일 서비스를 시작해 70일 만에 누적 100만8000여장 판매를 돌파한 기후동행카드는 모바일 카드 49만3000장, 실물 카드 51만5000장이 각각 판매됐다. 이 수치는 30일 사용 만료 뒤 재충전된 카드를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
기후동행카드로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지난 2일 기준 하루 사용자가 당초 기후동행카드 목표인 50만명을 돌파했다.
서비스 첫날인 1월27일에는 약 7만명이 기후동행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했다. 설 연휴 직후부터 눈에 띄게 이용자가 증가해 이달 2일에는 처음으로 이용자 50만명을 달성했다.
서울시는 청년할인, 김포골드라인 적용 등의 서비스 확대가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맞춤형 혜택을 제공해 새로운 사용자들이 기후동행카드를 선택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만 19~34세에 청년할인 혜택(7000원)이 도입된 지난 2월26일 이후 해당 연령대 사용자가 늘었다. 청년할인 제공 전인 2월21일에는 약 13만명이 청년층 사용자였지만 청년 혜택 발표 4주 뒤인 지난달 27일에는 25만명으로 그 수가 2배가량 뛰었다.
지난 3월30일부터 기후동행카드로 이용이 가능해진 김포골드라인은 도입 첫날 430명에서 이달 4일에는 2028명으로 이용자가 크게 뛰었다.
다양한 혜택이 증가하면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긍정적인 반응도 확대되고 있다. 교통카드 업체 '티머니'가 지난 2월 기후동행카드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효 응답자 7608명 가운데 76.6%가 기후동행카드 서비스에'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교통비 절감 ▲대중교통 이용편의 증진 ▲기후위기 대응에 기여 등이 꼽혔다. 앞으로도 기후동행카드를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한 시민도 98%였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는 시민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혁신을 계속할 계획이다. 이달 말에는 신용·체크카드까지 기후동행카드 충전 수단을 확대한다.
상반기 안에는 서울대공원 등 문화·공원 시설 입장 시 할인 혜택 제공, 본사업(7월)에는 관광객을 위한 단기권 출시 등 다양한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앞으로 시민들이 원하는 다양한 부가 혜택을 마련하여 더 편리하게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선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