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재그 등을 운영하는 카카오스타일이 지난해 매출 650억원, 영업손실 198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카카오스타일
지그재그 등을 운영하는 카카오스타일이 지난해 매출 650억원, 영업손실 198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카카오스타일

카카오스타일의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62% 성장하며 역대 최대 기록을 썼다. 동시에 영업손실 규모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9일 카카오스타일이 공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매출은 1650억원, 영업손실은 198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대비 62% 늘었고 영업손실 규모는 320억원 감소했다.


카카오스타일은 대표 서비스인 '지그재그'의 비용 구조를 효율화하는 데 성공하며 지그재그 플랫폼은 연간 영업이익 흑자로 전환했다. 지그재그의 영업이익 흑자는 2019년 이후 4년 만이다.

카카오스타일은 신사업 투자로 인해 전사 기준 영업 손실이 발생했다고 했다. 40대 이상의 시니어 시장에서 또 다른 '지그재그'를 만들기 위해 신사업 '포스티(posty)' 등에 투자를 진행하며 손실이 생겼다는 설명이다. 포스티는 연간 2배 이상의 성장률(150%)을 이어가고 있으며 지난해 거래액 1000억원 수준을 달성했다.

2023년 카카오스타일 실적 요약. /그래픽=카카오스타일
2023년 카카오스타일 실적 요약. /그래픽=카카오스타일

카카오스타일은 지난해 4분기 전사 기준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다. 이에 대해 "비용 절감 등을 통한 당장의 흑자 전환보다는 기술과 신사업 투자 등 미래 성장 동력을 충분히 마련하면서 실적 개선을 해나가고 있다는 점이 의미가 크다"고 자평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에 기반한 마케팅 비용 효율화 및 최적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재무 구조를 정립한 것이 실적 개선에 주효했다. 주문 후 배송까지 수일이 걸리던 동대문 사입 시장에 도입한 빠른 배송 서비스 '직진배송'이 성장했다. 이 밖에도 패션, 뷰티, 라이프, 푸드 등 카테고리 확장이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

김영길 카카오스타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해 비용 효율화를 통해 지속해서 이익을 낼 수 있는 건강한 재무 구조를 정립했고 이를 통해 외형 성장과 동시에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며 "현재 흐름이라면 올해는 지난해 수준을 뛰어넘는 거래액, 매출 증가율과 의미 있는 흑자 규모를 충분히 달성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