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29일 경기도의회 제379회 정례회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2025년 예산안에 대해 설명하면서 "사람 중심의 휴머노믹스를 기반으로 기회, 책임, 통합에 중점을 둔 3대 분야에 집중투자한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대한민국의 경제는 비상 상황으로 확장재정이 해법"이라며 "도정 핵심 가치인 사람과 미래에 투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경기도가 편성한 2025연 경기도 예산안은 올해보다 7.2%로 증가한 38조7081억원 규모다
김 지사의 예산안 시정연설에 따르면 먼저, 경제에 활력을 더하기 위해 '기회 예산'을 편성했다. 도로, 하천 철도 등 SOC 투자에 2조 8000억원을 투입하고 기회소득 규모와 대상을 2배 이상 확대했다. AI(인공지능)과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한 투자도 2배 이상 키웠다.
또한, '청년 사다리 프로그램', '청년 캡이어' 등 청년 기회 정책에 2384억원을 투자하고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일자리 예산도 크게 늘렸다. 기후대응을 위한 예산도 전년 대비 1216억원 증액했다.
민생을 지키기 위해 지역화폐 발행, 교통예산 등 '책임 예산'을 편성했다. 지역화폐 발행에 1043억원을 편성해 총 3조 5000억원 규모의 지역화폐를 발행하고, 신용도 하락으로 자금 융통이 어려운 소상공인을 위해 전국 최초 '운영비 지원 카드'를 지원한다. 최대 500만원을 한도지원으로 100억원을 투자한다.
교통 격차 해소와 민생에 활기를 더하기 위해 교통 예산도 대폭 확대했으며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예산도 증액했다. 'The 경기패스',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버스 공공관리제' 등에 총 7000억원을 투입한다.
포용과 상생의 사회를 만들기 위한 '통합 예산'을 편성했다. 경기도 독립기념관 건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광복 80주년 기념 문화사업 예산도 32억원 편성했다.
참전명예수당을 50% 증액하고 이주노동자와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통합 예산을 34.8% 증액했다. 또한 외국인 인권지원 예산을 2배 이상 확대하고, 외국인 자녀 보육지원 예산도 증액 편성했다.
지역 격자 해소와 균형발전을 위해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한다. 가평과 연천 등 경기 북부 6개 시군에 525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아울러 도로, 하천으르 비롯한 경기북부 교통인프라 확충에 2018억원을 선제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내년에도 과감한 확장재정을 이어가는 것은 '사람 중심' 경기도의 담대한 결심이자 해법"이라며 "2025년 경기도의 기회, 책임, 통합 예산은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도약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