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특례시가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시는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으로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를 운영 중이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하루 최대 2회, 월 최대 60회까지 교통비를 환급해주는 제도로 청년층은 30%, 일반인은 20%, 저소득층은 최대 53%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또 만 6세 이상 어린이·청소년 교통비도 지원하고 있다. 분기별 6만원, 연 24만원까지 지원되는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은 지난해 K패스 개시에 맞춰 지원 연령이 만 13세에서 만 6세로 확대됐다.
K패스를 통해 지난해 12월 기준 약 7만7000명이 평균 1만9000원씩 환급받았으며 올해는 다자녀 가구에 대한 추가 지원으로 이용자 증가가 예상된다. 올해 K패스 예산은 국도비 포함 총 145억8000만원이다.
시는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정책에 동참해 수도권 내 추가 요금 없이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기후동행카드는 지역 내 지하철 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과 서울 경유 시내버스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정기권 가격은 일반인 기준 월 6만5000원이다. 시는 올해 약 1만명이 해당 카드를 사용할 것으로 보고 관련 예산 14억4000만원을 확보했다.
고양시는 GTX-A 노선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버스노선을 신설·조정해 킨텍스역에는 18개, 대곡역에는 19개 버스노선을 운행한다.
킨텍스역은 연계버스가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9개 노선을 확충해 18개 노선을 운행 중이며 △대화, 가좌 지역은 062A, 062B, N007번△탄현, 덕이 지역은 066B, 074, N002번 △중산 마을은 55, 091A번이 신설·조정돼 킨텍스역까지 운행한다. 향후 장항공공주택지구에서 킨텍스역을 순환하는 N003번 노선은 도로정비가 완료되면 운행을 개시할 예정이다.
시는 올해 버스·전철 간 효율적인 환승·연계 체계 구축을 위해 고양시 버스노선 체계 개편 연구 용역을 실시한다. 고양시 인·면허 노선과 간접적으로 고양시를 경유하는 타 시·군 노선을 대상으로 2026년까지 개편안 수립을 완료하고 2030년도까지 노선조정을 실행할 방침이다.
이번 용역으로 △창릉지구, 대곡역세권 등 대규모 택지·도시개발사업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고 △GTX-A, 서해선, 교외선 등 광역철도 확대로 인한 버스 연계와 노선버스 굴곡도 개선 및 중복노선 조정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시민 모두가 대중교통 정책을 편안하게 누릴 수 있도록 대중교통비 부담은 줄이고 혜택은 늘리겠다"며 "광역교통망 연계 버스노선 확충과 버스노선 체계 개편으로 효율적인 대중교통 환승 연계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