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자연재해에 대한 대처와 관리 과정을 보여주는 '영천 청제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 2일 예고했다. /사진=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이 신라의 자연재해 대응과 물 관리 체계를 보여주는 '영천 청제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 예고했다고 2일 밝혔다.

'영천 청제비'는 신라 시대 조성된 인공 저수지인 '청못' 옆에 세워진 비석 2기로 받침돌과 덮개돌 없이 자연석에 비문을 새긴 것이 특징이다. 청제건립·수리비와 청제중립비로 구성돼 있으며 신라 시대 제방 조성과 수리 과정을 담고 있다.


청제건립비와 청제수리비는 하나의 돌 앞·뒷면에 각각 새겨졌고 위는 얇고 아래는 두꺼운 형태다. 대부분의 비문이 판독 가능한 상태로 남아 있다. 청제건립비(앞면)는 536년(법흥왕 23년) 2월8일 탁곡 지역에 제방을 준공한 내용과 공사 규모, 동원 인원, 공사 책임자 등을 기록했다. 서체는 자유롭고 비정형적인 신라 6세기 서풍의 특징을 지닌다.

청제수리비(뒷면)는 798년(원성왕 14년) 4월13일 제방 수리 공사의 완료 사실과 파손·수리 경과, 공사 규모 및 책임자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서체 역시 신라 고유의 서풍을 계승했다.

청제중립비는 1688년(조선 숙종 14년)에 땅에 묻혀 있던 청제건립·수리비를 다시 세운 사실을 기록하고 있으며 조선 서체 대신 신라의 예스러운 서풍을 반영한 점이 특징이다.


'영천 청제비'는 신라 시대 왕실 소유 제방의 관리 및 보고 체계를 보여주는 희귀한 기록물로 정치·사회·경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사료다. 시기를 달리하는 두 개의 비문이 한 비석에 새겨져 있는 점, 조성 이래 현재까지 원 위치에 보존돼 온 점 등에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 예고를 통해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보로 지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우리 문화유산의 숨겨진 가치를 재조명하고 보다 합리적인 지정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