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통령 선거에 산업은행 본점을 부산으로 이전한 금융정책이 화두로 떠올랐다. 사진은 산업은행./사진=산업은행

6·3 대통령 선거에 산업은행 본점을 부산으로 이전하는 금융정책이 화두로 떠올랐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후보는 부산광역시의 숙원사업인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관련법 통과를 국회에 최우선으로 요청한다고 밝힌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은 어렵다고 맞서고 있다.

14일 이재명 후보는 이날 오후 부산 서면을 찾아 지지자들 앞에서 "정치는 실현 가능한 약속을 하고 그 약속을 이행해 검증받고 재신임 받는 것"이라며 "산업은행 대신에 대한민국에서 제일 큰 해운회사인 HMM을 부산에 옮겨오겠다"고 말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지난 2023년 5월 산업은행을 부산 이전 공공기관으로 고시했지만 산업은행 본사를 서울로 명시한 산업은행법 개정안은 다수당인 민주당의 반대로 2년째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법 개정 전에 실질적인 부산 이전 효과를 내겠다며 부산에 남부권본부를 신설하기도 했다.

잠잠했던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문제가 조기 대선에 고개를 들고 있으나 실현 가능성은 여전히 미지수다. 야권의 대선 주자인 이재명 후보가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계획은 추진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사실상 여소야대 국회에서 진전을 거두기 어려워서다.

부산 이전을 언급하지 않은 이 후보에 산업은행 노조는 환영하며 지지를 표명했다. 산업은행 노조는 "이재명 후보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며 "일부 대선 후보들이 다시금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허울뿐인 산업은행 이전에 집착하지 말고 실효성 있는 공약을 개발하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선 조기 대선에 등장한 산업은행 이전 공약은 정치권의 '지역 챙기기'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산업 정책금융의 중심축인 산업은행이 정치권 주장에 따라 흔들리는 모습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금융 산업의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