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리스토퍼 랜도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지난 14일 박윤주 외교부 제1차관과 만나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에 대한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비자 제도 개선을 위한 빠른 후속 조치를 약속했다.
랜도 부장관과 박 차관은 이날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만나 한미 외교차관 회담을 진행했다. 양국은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 국민의 구금 문제 해결과 비자 제도 개선 문제 협력,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 등을 논의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박 차관은 회담에서 우리 기업 근로자들이 미국 내 구금시설에서 겪었던 불편한 처우를 언급하며 우리 국민이 이번 사태로 깊은 충격을 받은 사실에 유감을 표했다. 그러면서 미국 측이 우리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재발 방지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조처를 해줄 것을 강하게 요청했다.
귀국 근로자들의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도록 할 것을 다시 한번 요구하는 한편, 외교부-국무부 간 워킹그룹을 창설해 한국 맞춤형 비자 카테고리 신설과 비자 관련 상담창구 개설 등을 빠르게 진행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랜도 부장관은 우선 이번 사태가 일어난 것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이번 사태를 한미관계 강화를 위한 전기로 활용해 나가자"라고 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 문제에 높은 관심을 가진 만큼 귀국자들이 미국에 재입국할 때 어떠한 불이익도 없을 것이며, 향후 유사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랜도 부장관 "향후 대북정책 관련 긴밀한 공조 지속하자"
아울러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활동이 미국 경제·제조업 부흥에 크게 기여한 것을 절감하는 만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한국 근로자들의 기여에 합당한 비자가 발급될 수 있도록 박 차관이 언급한 후속 조치 관련 실무협의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자고 말했다.두사람은 9월 말 제80차 유엔총회와 다음 달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등 다양한 국제행사를 계기로 한 한미 고위급 외교 일정을 논의하고, 이를 계기로 지난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조선·원자력·첨단기술 등 미래지향적 분야에서 더욱 진전된 협력 성과를 도출할 것에 공감했다.
랜도 부장관은 한국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잘 이해하고 있다고 말하며 향후 대북정책과 관련해서도 양측이 긴밀한 공조를 지속해 나가자고 밝혔다.
이날 한미 외교 차관 회담에 앞서 조현 외교부 장관 역시 랜도 부장관을 만나 이번 구금 사태가 한미 모두에게 좋은 결과로 귀결될 수 있도록 랜도 부장관이 후속 조치에 완벽히 해줄 것과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가 실행될 수 있도록 신경 써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