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유등축제에서 판매된 음식이 공개되면서 '바가지 요금'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만원짜리 닭강정. 사진=스레드 캡처

경남 진주시 유등축제 현장에서 판매된 닭강정 세트가 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다. 한 손님이 1만 원을 지불하고 받은 음식의 실물 사진을 공개하자 "바가지요금은 끊을 수 없는 거냐. 정신 못 차리냐?"는 비판과 질타가 쏟아지고 있다.

16일 SNS '스레드'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진주 유등축제에서 만원을 주고 산 닭강정 후기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씨는 "만원짜리 닭강정을 샀는데 어처구니없어서 사진으로 남긴다"며 "언제 튀겼는지 모를 차게 식은 닭강정과 감자튀김, 그 밑에는 알 수 없는 알새우칩이 들어 있더라. 아이가 먹고 싶다 해서 사긴 했지만, 이런 식으로 장사하는 건 좀 그렇지 않냐"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공개된 사진에는 손바닥만 한 종이 용기에 적은 양의 닭튀김과 감자튀김, 알새우칩이 담겨 있었다. 음식의 색은 갓 조리한 음식이라 보기 어려웠으며 양도 적었다. 누리꾼들이 "바가지 아니냐"고 동조하자, A씨는 댓글을 통해 "알새우칩도 손님이 안 보이게 돌려놨다. 양이 너무 적다고 하자 (판매자) 두 분이 버럭버럭하면서 '원래 그러니까 싫으면 2만원짜리 사라'라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가성비 너무 안 좋다. 6000원에 팔아도 열받을 것 같다" "아이가 사달라니 어쩔 수 없겠지만 너무 심각하다" "바가지 논란은 언제까지 계속될 거냐. 정신 못 차리냐" "이래서 국내 여행 안 가고 해외여행 가는 거다" 등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부스 임대료가 2000만원에 달해 어쩔 수 없다"는 의견을 내놨다. 그러나 진주 유등축제 푸드트럭의 총임대료는 약 1600만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르면 1대당 임대료는 약 200만원으로, 16일간 운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하루 12만5000원 정도에 불과하다. 결국 임대료 부담보다는 '축제 프리미엄'에 의한 가격 부풀리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유등축제 바가지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어묵 꼬치 두 개, 혹은 한 개를 만원에 파는 사례도 발견된 바 있다. 수년째 비슷한 사례가 반복하자 일부는 "지역 축제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걱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