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섭 KT 대표가 자사 보수 차량에 경쟁사 SK텔레콤의 해킹 사태를 겨냥한 포스터를 부착한 것과 관련해 "즉각 시정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SK텔레콤의 해킹 사태를 이용한 '공포 마케팅'을 진행한 것을 두고 최민희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남양주시갑)이 "왜 이렇게 하느냐. 치사하다"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했다.
이날 김 대표는 KT의 무단 소액결제 사태와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대한 질의에 이어 과거 SK텔레콤 해킹 사태를 이용한 '공포 마케팅' 논란에 대해서도 도마에 올랐다.
지난 4월 해킹 피해를 본 SK텔레콤이 몸을 낮추던 시기, KT는 당시 일부 일부 광역본부를 중심으로 'SK텔레콤 고객 7월14일까지 위약금 면제" 등의 문구가 적힌 이미지를 직원들에게 카카오톡 프로필로 사용하도록 권장해 비판을 받았다. 정부는 이 같은 행위를 경쟁사 비방성 마케팅으로 보고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반면 LG유플러스는 당시 홍범식 사장이 "공정한 경쟁과 고객 편익이 우선"이라며 "경쟁사 비방을 절대 금지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김 대표는 무단 소액결제 해킹 피해 사실을 전 고객에게 제대로 고지하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그는 "피해 사실을 알리는 데 불충분했다"며 "전 고객에게 피해 사실을 안내하겠다"고 말했다.
노종면 의원(더불어민주당·인천 부평구갑)은 "KT가 피해 고객에게만 개별 안내를 하고 있다"며 "전 고객을 대상으로 한 공식 고지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는 과거 SK텔레콤이 유심 해킹 사태 당시 전 고객에게 안내 문자를 발송했던 것과 대비된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고지 불충분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전 고객 안내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