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재계 총수들과의 회동을 마친 후 기업인들을 향한 감사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16일 오후 재계 총수들과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를 주재한 후 "지금까지 정부와 기업이 이렇게 합이 잘 맞아서 공동 대응을 한 사례가 없었던 것 같다"며 "전적으로 기업인 여러분의 헌신과 노력 덕분"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한미 관세 협상을 마친 이 대통령은 이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한 7개 그룹 재계 총수들을 모아 회동을 가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등 7인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 관세협정에 대해 "국제 질서 변경에 따라 불가피하게 수동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었고 좋은 상황을 만들기보다는 나쁜 상황을 만들지 않는 게 최선이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쨌든 남들이 예상하지 못한 성과라면 성과, 방어를 아주 잘 해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걱정되는 측면들이 있다. 혹시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그런 걱정들을 한다"며 "그 걱정들은 없도록 여러분들이 잘 조치해 주실 걸로 믿는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것도 하나의 기회일 수 있다. 변화가 생길 때 보통은 위기라고 생각하지만 그건 기회 요인으로 만들 수가 있다"며 "변화된 상황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또 그 기회를 만들면 우리한테도 또 좋은 상황이 도래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가 대미 금융 투자 또는 금융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됐는데 그 부분을 정부 측하고 잘 협의하셔서 기회를 잘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며 "정부 입장에서도 국내 기업들이 연관돼서 사업을 하는 게 투자금 회수에 훨씬 더 안정성이 높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기업 활동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부탁 하나 드리고 싶다. 정부는 기업인들이 기업 활동하는 데 장애가 최소화되도록 총력을 다할 생각"이라며 "친기업, 반기업 이런 소리 하는데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여러분께 정말 필요한 게 규제 같다"며 "예를 들면 규제 완화 또는 해제 철폐 중에서 가능한 것이 어떤 게 있을지 구체적으로 지적해 주면 신속하게 정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재정 투자도 마찬가지고 R&D 개발 또는 위험 영역에 투자해서 우리 재정이 후순위 채권을 발행하는 것을 우리가 인수한다든지, 손실을 우선순위로 감수한다든지 새로운 방식들도 얼마든지 도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모험적인 투자를 강하게 할 수 있도록 그런 방식도 동원해 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노사 관계에 대해선 "노동과 경영이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상호 보완적이고 상생적인 요소가 언제부터 너무 적대화되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 측면에서도 임금 착취 소리를 들어가면서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느냐 그런 점은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며 "특히 첨단 기술 산업 같은 경우 역량이 문제지 인건비나 액수 차원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 이 문제에 대해 조금 더 관용적이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또 "있는 대로 터놓고 사회적인 대대적인 논쟁을 통해서 일정한 합의를 이루어야 하지 않을까, 사회적 대토론과 대타협에 이르러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숨겨놓지 말고 그냥 터놓고 한 번 언젠가는 그런 얘기들을 한번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