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가 장기화됨에 따라 보험사들의 해외대체투자를 점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특히 과도한 해외대체투자 및 고위험 투자 비중을 보이는 보험사는 손실 확대 시 큰 부담이 될 수 있어 중점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7일 한국금융연구원은 '국내 보험사의 해외대체투자 동향 및 평가'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말했다.
보험사 대체투자, 부동산 쏠림 심화
최근 수년간 국내 보험사들은 초저금리 기조로 수익률 확보와 장기자산 투자를 위해 부동산, 사회인프라(SOC) 등을 중심으로 해외대체투자를 확대해 왔다.한국신용평가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국내 보험사 10곳의 해외대체투자 규모는 약 15조4000억원으로, 2017년 12월 말(10조5000억원)보다 47% 증가했다.
보험사 해외대체투자 자산별 비중은 부동산이 6조1000억원(40%)으로 가장 높았고 SOC 5조8000억원, 항공, 선박이 1조5000억원이었다.
보험사 해외대체투자 지역별 비중은 북미지역이 48%, 유럽 26%, 아시아, 호주 16% 순이었다.
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보험사의 해외대체투자 비중은 자기자본 대비 16.4%, 총자산 기준으로는 2.8% 수준이다. 선순위 투자 비중이 49%로 가장 높으며, 고위험·고수익으로 분류되는 후순위·지분형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9%다.
전반적으로 보험사의 자기자본 및 총자산 대비 해외대체투자 자산 비중은 높지 않았다. 전체 해외대체투자 자산 중 후순위, 지분형 투자 비중도 양호한 편으로 평가됐다.
"코로나 장기화 가능성, 해외대체투자 재점검해야"
하지만 보고사는 일부 보험사의 경우 자기자본 대비 해외대체투자 자산 비중이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보험사 후순위 및 지분형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부동산의 경우 43%, SOC는 25% 수준이었다.
또 일부 보험사의 경우 해외대체투자 규모가 자기자본 대비 90~200% 수준으로 높았다고 지적했다.
이석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코로나19이 재확산될 경우 해외부동산 등의 자산에서 현금흐름의 차질이 심화되고 손실이 누적, 확대되면서 경매 등을 통한 투자자산 처분 압박이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실제로 일본 야마토 생명은 2000년대 초, 중반 초저금리기조 하에 수익률 제고를 위해 고위험, 고수익 자산에 대한 무리한 투자를 이어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함께 큰 투자손실을 보며 파산했다.
이 연구위원은 "초저금리기조에서 대체투자, 고위험 투자를 과도하게 늘려온 일부 보험사는 손실이 확대될 경우 자본적정성에 큰 부담을 느낄 수 있어 중점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보험사들도 부동산 등 해외대체투자에 대한 사전적 심사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보험사 후순위 및 지분형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부동산의 경우 43%, SOC는 25% 수준이었다.
또 일부 보험사의 경우 해외대체투자 규모가 자기자본 대비 90~200% 수준으로 높았다고 지적했다.
이석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코로나19이 재확산될 경우 해외부동산 등의 자산에서 현금흐름의 차질이 심화되고 손실이 누적, 확대되면서 경매 등을 통한 투자자산 처분 압박이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실제로 일본 야마토 생명은 2000년대 초, 중반 초저금리기조 하에 수익률 제고를 위해 고위험, 고수익 자산에 대한 무리한 투자를 이어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함께 큰 투자손실을 보며 파산했다.
이 연구위원은 "초저금리기조에서 대체투자, 고위험 투자를 과도하게 늘려온 일부 보험사는 손실이 확대될 경우 자본적정성에 큰 부담을 느낄 수 있어 중점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보험사들도 부동산 등 해외대체투자에 대한 사전적 심사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