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외출이 제한되면서 올 한해 동안 모든 연령대에서 TV 시청 시간량이 늘어났다. 사진은 거리두기 격상으로 연말에도 한적한 서울 명동 거리. /사진=뉴스1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외출이 제한되면서 올 한해 동안 모든 연령대에서 TV 시청 시간량이 늘어났다. 사진은 거리두기 격상으로 연말에도 한적한 서울 명동 거리. /사진=뉴스1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외출이 제한되면서 올 한해 동안 모든 연령대에서 TV 시청 시간량이 늘어났다.
30일 시청률 조사회사 TNMS는 전국 3200가구 9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시청자 데이터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전국 가구 일별 평균 TV 시청 시간량은 9시간3분으로 전년대비 32분 증가했다. 개인 평균 일별 TV 시청시간량도 전년보다 37분 늘어 4시간50분으로 집계됐다.

올해 하루 평균 TV 시청시간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세대는 60대였다. 연령대별 통계를 살펴보면 60대 이상에서 일별 평균 TV 시청시간량은 전년대비 48분 늘었다.


그 다음은 어린이었다. 4~9세 어린이의 경우 일별 평균 TV 시청시간량이 46분 증가했다. 이어 50대 39분, 10대 32분, 20대 30분, 30대 22분 순이었다. TNMS 측은 “어린이집과 학교를 가지 못한 어린이와 10대, 대학생이 포함된 20대에서 TV 시청시간량 증가폭이 직장인이 포함된 3040대 보다 크다”고 설명했다.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TV 시청시간량이 전년 동기간 대비 일제히 증가했다. 특히 4월은 전년 동기간 대비 1시간22분 증가로 1년 중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당시 4월15일 총선 전후 전국적으로 방역이 강화된 것이 하나의 요인으로 꼽힌다.

대구 신천지 관련 확진자가 대거 나왔던 3월은 전년 동기간 대비 TV 시청시간량이 평균 1시간16분 늘었다. 이는 4월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증가 폭이다.


반면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적었던 1월은 전년 동기 대비 1분이 증가해 1년 중 가장 작은 증가폭을 보였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