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비자원이 야회활동이 늘어나는 여름철을 맞아 놀이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주의보를 발령했다.
2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2019∼2021년) 동안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4076건으로 매년 1000건 이상씩 발생했다.
연도별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는 ▲2019년 1736건 ▲2020년 1176건 ▲2021년 1164건으로 확인됐다.
놀이터 안전사고를 계절별로 분석한 결과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여름철(41.6%)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을(25.0%) ▲봄(18.7%) ▲겨울(14.6%) 순이었다.
안전사고를 발달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학령기(7∼14세) 어린이 관련 사고가 4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아기(4∼6세) 35.3% ▲걸음마기(1∼3세) 21.5% 순으로 확인됐다.
안전사고 중 미끄럼틀이나 그네 등 놀이기구에서 떨어지는 추락 사고가 58.3%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미끄러짐·넘어짐(19.6%) ▲부딪힘(18.1%) 등의 사고도 잦았다.
안전사고는 학령기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지만 미끄러짐이나 넘어짐에 따른 사고는 유아기에서 더 많았다. 안전사고에 따른 증상은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40.0%) ▲근육· 뼈 등의 인대 손상(31.8%)이 주를 이뤘다.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놀이터 어린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보호자가 옆에서 지켜볼 것 ▲놀이터 안내판 등 보호자가 기구별 안전수칙 먼저 숙지할 것 ▲어린이에게 기구 이용법 및 주의사항 알려줄 것 ▲활동하기 편한 옷을 입힐 것 등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