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국토부 장관 /사진=뉴스1
원희룡 국토부 장관 /사진=뉴스1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미분양 물량 10만가구를 예상하면서 분양가는 여전히 높다고 지적했다.

원 장관은 지난 21일 '부동산발 금융위기 연착륙 해법'을 주제로 열린 언론사 경제심포지엄에 참석해 "미분양 10만가구를 예측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국 미분양 주택은 지난 1월 기준 7만5359가구로 10년2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원 장관은 "대기업 우량사업까지 미분양이 나 시장 전체가 마비되는 '미분양발 금융위기'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전체 경제위기로 가는 고리와는 성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분양 물량이 1만7000가구에 달하는 대구를 예시로 들며 "1만7000가구 미분양이라니 큰일이 날 것 같지만 대구는 2020~2021년 재건축·재개발 물량이 쏟아져 나온 곳"이라며 "대구 미분양의 60%는 상대적으로 대기업들의 보유다. 회사의 금융위기로까지 전이될 물량은 극소수"라고 강조했다.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비싼 것도 가격 마찰 요인이라는 해석도 덧붙였다.

집값 전망에 대해서는 "대세 반전을 이야기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며 "아직 분양가나 호가가 주변 시세나 소비자들이 기다리는 것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매도자들은 배짱 분양, 배짱 호가를 하고 있고 매수인들은 '어디까지 내리나 보자'며 '존버'(끝까지 버틴다는 뜻)를 하는 사태라 관망세가 아직은 크다고 본다"고 내다봤다.


원 장관은 "실수요인 전·월세가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이런 부분이 하방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라며 "너무 급등한 가격은 안정시켜야 하고 지나치게 경제행위를 위축시키는 규제와 부담, 세금 이런 부분들은 정상화 시켜줘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