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8일 오전 검찰 특별수사본부에 자진출석했다. 사진은 지난 3일 김 전 장관이 국무회의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스1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8일 오전 검찰 특별수사본부에 자진출석했다. 사진은 지난 3일 김 전 장관이 국무회의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스1

비상계엄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제안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8일 오전 검찰에 자진 출두했다. 계엄 사태가 발생 닷새만에 조사가 이뤄졌다.

8일 뉴시스에 따르면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이날 김 전 장관이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해 조사받고 있다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은 내란 및 직권남용 혐의 피의자 신분이다.

검찰은 김 전 장관이 이번 계엄 사태에 깊이 관여한 만큼 진술 확보가 필요하다고 보고 출석 일자를 조율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심야 조사는 김 전 장관이 변호인을 대동해 새벽 자진 출석하면서 이뤄졌다. 김 전 장관 측은 자신에게 제기된 의혹과 관련해 수사에 협조하기 위해 자진 출석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검찰은 김 전 장관을 상대로 윤 대통령에게 계엄을 건의하게 된 배경과 사전 계엄 모의 여부는 물론 비상계엄 선포 전후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장관은 윤 대통령에게 계엄을 직접 건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행 계엄법상 국방부 장관과 행정안전부 장관은 대통령에게 계엄 발령을 건의할 수 있다.


계엄 선포 이후 김 전 장관은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를 개최하고 전군 비상경계 및 대비태세 강화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상계엄 일주일 전 김명수 합동참모의장에게 북한 오물풍선 원점타격을 지시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하지만 합참은 이를 부인했다. 비상계엄 사태 해제 후 해외로 도피하려 했다는 주장도 나왔지만 부인했다.

김 전 장관은 비상계엄 사태 해제 4일만에 사의를 표명했고 윤 대통령은 다음날 면직을 재가했다.

야당과 시민단체 등은 김 전 장관을 서울중앙지검, 경찰, 공수처 등에 고발했다. 수사기관은 김 전 장관의 출국금지 조치를 내린 후 수사를 진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