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홍 부산시교육감 권한대행이 19일 지방공무원 발령을 받은 공무원에게 배지를 달아주고 있다./사진=부산시교육청
최윤홍 부산시교육감 권한대행이 19일 지방공무원 발령을 받은 공무원에게 배지를 달아주고 있다./사진=부산시교육청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탄핵심판으로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이하 대대행) 체제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부산시교육청도 교육감 대대행 체제가 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9일 현재 부산교육청은 하윤수 전 교육감이 지난해 12월 교육감 직을 상실하면서 최윤홍 부교육감이 권한대행을 하고 있다. 문제는 2개월 이상 권한대행을 하고 있는 부교육감이 출마결심을 굳히고 있다는 점이다.


부산시 중도·보수 교육감 단일화 통합추진위원회 등에서는 최 권한대행이 오는 20일 출마 선언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만약 최 권한대행이 사퇴한다면 최소 한 달 이상의 교육감 대대행 체제는 불가피하다. 또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정시기에 따라 부산교육감 재선거일이 변경될 수 있어서 교육감 대대행 체제는 2개월 이상이 지속될 기능성도 있다. 이를 경우 약 5개월 간의 부산교육청 수장 공백으로 인해 부산교육의 주요정책들이 운영에 차질이 오지는 않을까하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우려 속에 최 권한대행의 부산교육 수장으로서 자질 문제도 거론되고 있다.


일부 보수진영에서는 최 권한대행이 2017년 문재인 정부시절 김상곤 교육부장관의 취임 직후 발생한 교육계의 블랙리스트 논란의 주범이라고 주장한다. 그 당시 교육부 운영지원과장이 최 권한대행이다. 당시 일부 언론보도에 따르면 최 권한대행이 교육부 산하기관을 관장하는 부서들의 사무관과 서기관급 실무자들을 소집해 "산하기관 임원들 중 내보낼 사람과 남길 사람을 판단할 수 있도록 자료를 만들라"고 지시했다.

당시 야당인 자유한국당의 전희경 대변인은 "교육부의 살생부 작성 시도는 문재인 정부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라며 "블랙리스트를 입에 달고 살면서 이토록 노골적인 정치보복용 살생부 작성은 전례 없던 일"이라고 비판했다. 또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현 국회부의장)도 "교육부의 살생부 작성 시도는 전 정부의 블랙리스트 못지 않은 신적폐"라고 비판하면서 "김상곤 교육부 장관은 경위를 밝히고 책임질 일이 있다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최윤홍 운영지원과장(현 부산교육청 부교육감)은 "단순 현황 파악인데 교체 필요 직위 검토 등 표현에 문제가 있었고 오해 소지가 있어 취소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중도보수 교육감 후보 단일화 기구 '부산시 중도·보수 교육감 단일화 통합추진위원회'(통추위)가 19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단일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통추위는 "후보자 등록이 3월13~14일이고 21일까지 후보자들은 선거홍보물과 선거 벽보를 선관위에 제출해야 한다"며 "16개 구·군 선거연락사무소 설치와 선거운동원 확보 등을 포함한다면 최종 단일화 후보 확정은 2월 말에서 3월 초에는 마무리 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중도보수 후보 단일화에 참여할 인물은 전영근·박종필·박수종·정승윤 예비후보와 최윤홍 출마예정자 등 총5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