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지속될 경우 향후 60년 동안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사진=이미지투데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지속될 경우 향후 60년 동안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사진=이미지투데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지속될 경우 향후 60년 동안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OECD는 지난 5일(현지시각) '한국의 태어나지 않은 미래: 저출산 추세의 이해'라는 제목의 책자에 이같은 전망을 담았다.


OECD는 "출산율 감소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한국의 경우 2023년 기준 합계 출산율(여성이 가임기간인 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인 0.72명을 기록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한국의 출산율이 지금 수준을 유지한다면 향후 60년 동안 한국 인구가 절반으로 감소한다"며 "오는 2082년에는 전체 인구의 약 58%가 65세 이상 노인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노인 부양 비율(20~64세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은 현재 약 28%에서 155%로 급증할 것으로 관측된다.

OECD는 한국의 출산율이 낮은 이유로 '높은 사교육비 지출'을 지목했다. OECD는 "한국의 교육열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면서도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짚었다.


이어 "정부가 사교육 이용을 줄이기 위해 공교육 질을 개선하고 사교육 기관을 규제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대학 서열화 등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주거비 부담'도 언급했다. OECD는 "2013년부터 2019년 사이 주택 비용이 두 배로 상승하면서 결혼 가능성이 약 4~5.7% 감소했다"고 했다.

아울러 OECD는 "많은 한국 여성은 경력을 포기하고 가정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부닥친다"며 "남성들이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이 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어 "여성 고용 확대, 실질적 근무 수명 연장, 외국인 노동력 수용 확대 등의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