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국방부가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의 방한 무산과 관련한 '한국 패싱' 논란에 대해 한미동맹의 변함없는 헌신을 강조했다.
14일(현지시각) 존 울리엇 미 국방부 대변인은 헤그세스 장관의 방한 무산 여부를 묻는 뉴시스의 서면 질의에 "현재 발표할 구체적인 사항은 없지만 한미동맹에 대한 우리의 철통같은 헌신은 변함없다"고 밝혔다.
울리엇 대변인은 "'프리덤 실드 25' 훈련이 진행 중이며 이는 지역 평화와 안보의 핵심으로서 한미동맹의 역할을 강화한다"며 "미 해군 항공모함 칼 빈슨호도 이달 한반도를 방문해 한국군과 공동 작전을 수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한국과 즉각적인 전투 준비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신행정부 출범 후 국방장관이 아시아를 순방하며 한국을 방문하는 것은 관례였다. 2017년 트럼프 행정부 당시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2월 한국을 찾았으며 2021년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도 3월 방한했다.
헤그세스 장관 역시 방한 가능성이 점쳐졌고 실제 검토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적으로 한국 방문 없이 일본, 괌, 하와이만 방문하기로 해 '한국 패싱'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국방 고위급 협력 논의 기회가 무산됐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 임박과 계엄 사태 등 한국의 정치적 상황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도 로이드 오스틴 당시 국방장관이 아시아 순방 중 한국 방문을 검토했으나 계엄 사태가 발생하자 일정을 취소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