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전소된 천년고찰 고운사를 끝까지 지키려던 소방관이 동료들에게 극적으로 구조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31일 뉴스1에 따르면 화마가 고운사를 덮치기 전인 지난 24일 오후 의성 단촌면 등운산 자락 고운사에는 현장 지휘관인 이종혁 경산소방서 재난대응과장과 대원 10명이 긴장감 속 화세를 예의주시하고 있었다. 당시 이 과장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 사찰 곳곳을 살피다 목욕탕을 발견했다.
이 과장은 목욕탕 건물 문이 개방된 데다 물도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만일의 사태에서 몸을 피신할 긴급 대피 장소로 이 건물을 염두에 뒀다. 다음 날(25일) 이 과장은 대원들에게 "내가 '전 대원 즉시 목욕탕으로 대피하라'고 명령하면 앞뒤 보지 말고 목욕탕으로 내달려라"고 당부해뒀다.
오후 3시가 넘어가자 고운사 일대는 강풍이 불었다. 이들은 스님과 사찰 관계자, 산림청 관계자들을 사찰 일대에서 내보내고 대응에 나서려고 했다. 그 순간 불길은 순식간에 고운사를 덮쳤다. 이 과장은 대원들에게 즉시 공기호흡기를 챙기고 목욕탕으로 대피하라고 한 후 모든 대원이 대피하자 목욕탕 문을 닫았다.
그는 경북119특수대응단 소속 RIT(신속동료구조팀)와 진화 인력을 최대한 빨리 지원해 달라고 요청한 후 대원들을 진정시켰다. 생사가 오가는 동료들로부터 지원 요청을 받은 RIT는 긴박하게 움직였다. RIT는 '소방공무원 현장 소방 활동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현장 활동 중 위험에 처한 소방관을 구조하기 위해 구성되는 전문 구조팀으로 '소방관을 구하는 소방관'이라고 불린다.
RIT팀으로 고운사에 출동한 경북119특수대응단 3팀 소속 구조대원 김남석 팀장, 황기하·박두열·이윤호·강대현·황시철·이태건 대원은 3시간쯤 지나자 고립된 동료들을 구출하는 데 성공했다. 한명의 인명 피해도 없었다. 경북119특수대응단 관계자는 "비록 고운사는 지키지 못했지만, 현장 소방대원의 신속한 판단과 RIP의 기민한 대처로 단 한명의 인명 피해 없이 철수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국민과 동료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을 더욱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