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놈이 그놈 아니다. 국민을 위해 준비된 충직한, 그리고 유능한 일꾼을 뽑아야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13일 TK(대구·경북) 지역 유세 첫 방문지인 경북 구미역 광장에서 유세차량에 올라 "지역·진영을 가리지 말고 유능한 사람을 선택해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후보는 자신이 경북 안동 예안면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졸업까지 자란 '경북 출신'임에도 이곳에서 20%의 지지도 얻지 못하는 현실에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는 "물론 준비가 부족해서 그렇겠지만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꽤 쓸 만한 구석이 있는 사람"이라며 기존 정당 구도보다 '인물'을 봐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지도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조선시대 선조는 무능했고 이순신 장군을 의심해 피바다를 만들었다. 반면 정조는 애민정신으로 나라를 중흥시켰다"며 "같은 나라, 같은 조건에서도 어떤 지도자를 세우느냐에 따라 지옥이 되기도 번영이 열리기도 한다"고 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평가가 다양하다. 저는 젊은 시절 독재하고 군인을, 심지어 사법기관을 동원해 사법 살인하고 고문하고 장기 집권하고 민주주의 말살하는 몹시 나쁜 사람이라 생각했다. 지금도 그건 사실"이라면서도 "한편으로 이 나라 산업화를 이끌어낸 공도 있다"고 평가했다.
이 후보는 연설 내내 관성적인 투표에서 벗어나 실용을 고려한 선택을 해야 함을 거듭 강조했다. 보수세가 강한 만큼 유능한 후보로 자임하면서 지지를 호소한 것이다. 이 후보는 "박정희 정책이면 어떻고 김대중 정책이면 어떻나. 필요하면 쓰고 불필요하면 버리는 것"이라며 "좌측이든 우측이든, 빨강이든 파랑이든, 영남이든 호남이든 무슨 상관이 있냐"며 "먹고사는 문제가 제일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진영 논리에 치우친 TK의 정치 현실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경북 안동, 구미는 제 고향이자 어릴 적 대단하다고 느꼈던 도시였지만 지금은 쇠퇴하고 있다"며 "정치인들이 경쟁하지 않으니 지역 발전이 멈춘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성남시장, 경기도지사를 하면서 느낀 것은 정치인은 경쟁해야 국민을 섬긴다는 점"이라며 "말뚝만 꽂아도 당선되는 지역에서는 국회의원들이 시민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치인에게 경쟁이 있어야 유권자를 존중하게 되고 지역을 위해 치열하게 싸우게 된다"며 "이번에는 이재명도 한 번 일시켜 보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역 발전 공약으로는 '에너지 전환'을 제시했다. "연간 200조원 가까이 수입에너지에 쓰는 돈을 지역 분산형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면 농촌도 살고 일자리도 생긴다"고 했다. 그는 "전남 신안군의 사례처럼 마을마다 태양광을 깔고 수익을 나누면 '햇빛 연금'으로 기본 생활이 가능하다. 왜 안 하느냐. 주민들에게 사업권을 주면 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누가 국정을 맡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치는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진 못해도 분명히 나아지게는 해야 한다"며 "국민의 손으로 상식과 존중이 통하는 나라, 기회와 보상이 공정한 나라를 함께 만들어가자"고 지지를 호소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오전 경북 구미역 광장 유세를 시작으로 대구와 경북 포항, 울산을 돌며 집중 유세를 벌였다. 2022년 대선 당시 대구(21.6%)에 이어 경북에서 두 번째로 낮은 득표율(23.8%)을 기록했던 TK의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중도층의 표심을 공략하려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