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산시가 시 승격 40년을 맞아 민생 안전 인프라 패러다임 전환에 나섰다.
안산시는 기존의 민생안전 유관기관 대표 회의체인 '일사천리 민생안전회의'의 성공적 운영 성과에 기반해 생활권 중심의 지역 밀착형 구조로 전면 확대한다고 9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관내 10개 생활권역별로 지역 맞춤형 민생안전 의제를 발굴·해결하는 신규 회의 체계를 구축해 현장 중심의 촘촘한 안전망을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 3일 신길동·원곡동·백운동을 아우르는 '신길권역'에서 첫 권역별 민생안전회의를 개최하며 확장을 시작했다.
안산시는 시 승격 40년과 지방자치 30주년이라는 뜻깊은 해를 맞은 올해 성공적으로 운영됐던 '일사천리 민생안전회의' 모델을 지역 밀착형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기존 '일사천리 민생안전회의'가 안산시 전체의 민생안전 컨트롤타워로서 의제 조율과 신속한 결정을 담당했다면 '권역별 민생안전회의'는 각 지역의 세밀한 현안을 발굴하고 해결하는 역할을 맡아 상호보완적으로 운영된다.
10개 생활권역은 상록구 5개(월피권역, 사동권역, 상록1권역, 상록2권역, 반월권역)와 단원구 5개(고잔권역,초지권역, 선부권역, 신길권역, 대부권역)로 구분한다. 권역별 회의는 관내 10개소의 119안전센터를 중심 거점으로 구성하고, 동 행정복지센터와 파출소·지구대, 관할 초·중학교 등 지역 기관장이 참여하게 된다.
이민근 시장은 "지역의 문제는 지역에서 가장 먼저 발굴하고 현장에서 답을 찾아 실질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며 "시민들이 안전하고 평안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각 기관과 함께 언제나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