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 아리랑에 담긴 시대의 정서를 따라가는 국악관현악 공연이 관객과 만난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오는 2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에서 실내악 시리즈 '소리섬'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마련된 무대로, 민족의 대표 민요 '아리랑'이 시대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재창조돼 왔는지를 음악적으로 조명한다.
아리랑은 특정한 원형 없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전승돼 온 민요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이번 공연에서 아리랑의 흐름을 역사적 사건과 시간의 순서에 따라 재구성하고, 각 시대의 정서와 공동체의 기억을 7개의 국악실내악 작품으로 풀어낸다.
첫 곡은 일본 규슈 지역에 전해진 '이츠키 아리랑'이다. 해금과 피아노의 앙상블로 구성된 이 곡은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 정착하게 된 조선인의 삶과 기억을 환기한다.
이어지는 '춘천 아리랑'은 경기소리와 생황, 양금, 가야금, 타악기가 어우러지며 명성황후 시해와 의병 항쟁이 일어나던 격동기를 담아낸다. '상주 아리랑'은 대금, 생황, 피리, 가야금 등 풍성한 편성으로 일제강점기 토지 수탈의 시대를, '고려인의 아리랑'은 1937년 스탈린에 의해 강제로 이주당한 연해주 고려인들의 실향 정서를 담아낸다.
다섯 번째 곡 '광복군 아리랑'은 판소리와 피리, 타악, 피아노의 강렬한 선율로 항일 무장투쟁의 의지를, '아라리요'는 소프라노와 해금, 아쟁, 더블베이스 등이 함께 어우러져 세계화 시대 속 아리랑의 확장성과 새로운 감성을 전한다.
마지막 곡 '의병 아리랑'은 대금, 피리, 해금, 가야금, 아쟁, 첼로, 타악, 신디사이저로 구성돼 1900년대 초 의병 활동의 정신과 저항의 선율을 형상화한다.
작·편곡에는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상주 작곡가 김현섭을 비롯해 작곡가 김영상과 정혁이 참여한다. 지휘는 이승훤 서울시국악관현악단장, 연주는 서울시국악관현악단(SMTO) 수석·부수석 단원들로 구성된 SMTO 앙상블이 맡는다.
이승훤 단장은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민요로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롭게 창작되거나 시대상을 반영한 가사 생겨나는 등 수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아리랑을 시간과 사건의 흐름대로 정렬하고, 이를 음악적 기록으로 남기고자 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