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인식 및 대응 제도 인지도' 온라인 조사 결과./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민 대부분이 폭염을 위험하다고 인식하지만, 절반은 정부의 폭염 대응 제도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실시한 '폭염 인식 및 대응 제도 인지도' 온라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저소득층, 일용직 근로자 등 취약계층의 제도 인지율은 30% 수준에 그쳤다.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한 맞춤형 교육과 정보 전달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 폭염을 '매우 위험하다'(39.6%) 또는 '약간 위험하다'(40.0%)고 답한 비율은 79.6%로 높았다. 20대(85.8%), 저소득층(87.7%), 미취업자(82.6%) 순으로 위험 체감도가 달랐다.

반면, 고용노동부가 지난달부터 시행한 '폭염 대응 근무지침'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52.0%로 절반에 그쳤다. 특히 저소득층(31.5%), 고졸 이하(25.2%), 20대(23.4%), 일용직 근로자(34.5%)는 인지율이 평균보다 20%포인트가량 낮아, 폭염 대응 정보 접근성에서 뚜렷한 격차를 보였다.

폭염 피해에 대한 우선 지원이 필요한 계층으로는 옥외 근로자(76.4%), 노인층(67.8%), 저소득층(37.0%) 순으로 나타났다. 일용직 근로자는 옥외 근로자 지원 필요성을 89.7%로 응답해 평균보다 크게 높았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폭염 피해를 줄이려면 계층별 특성을 반영한 제도 안내와 맞춤 교육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7월30일부터 1일까지 도내 만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폭염 인식 및 대응 제도 인지도'에 관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했다. 신뢰수준 95%에서 표본오차는 ±4.5%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