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 상반기 국내 대기업 오너일가의 자산가치가 33조원 가까이 늘어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한 삼성일가의 계열사 보유주 주가 상승이 전체 증가분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2일 리더스인덱스가 50대 그룹 오너일가 중 계열사 지분을 보유한 623명의 자산가치 증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 총 자산은 144조4857억원으로 올 초(111조5466억원) 대비 약 29.5%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상장사와 비상장사를 모두 포함했다. 상장사는 2025년 1월 2일과 8월 29일 종가를 비교하고 비상장사는 2023·2024년 결산자료 및 반기보고서를 참고해 순자산가치를 추정했으며, 보유 주식수는 8월 8일 기준으로 반영했다.
자산 증가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다. 지난해 11조9099억원에서 올 상반기 4조7167억원 늘어 약 16조6267억원을 기록했다. 보유 상장사 6곳(물산·생명·전자·SDS·E&A·화재)의 주가 상승이 주된 요인이다. 특히 삼성물산 주가가 올 초 대비 48% 넘게 뛰며 이 회장이 보유한 19.9% 지분 가치를 1조8465억원가량 끌어올렸다. 삼성전자(1.5% 보유)로 1조5895억원, 삼성생명(10.4% 보유)으로 1조774억원이 각각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 회장뿐 아니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4조7950억→6조7394억원, 증가액 3위), 모친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5조4466억→7조1448억원, 5위), 이서현 삼성물산 전략기획담당 사장(4조1694억→5조7559억원, 6위) 등 상반기 동안 삼성일가의 차산이 총 10조446억원 불어났다. 이는 50대 그룹 전체 증가분(약 33조7066억원)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개인 자산 증가 2위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으로 1조9873억원 불어나 총 2조9964억원을 기록했다. 부친 조석래 명예회장 별세 이후 지분 증여와 계열분리 과정에서 형제간 지분 맞교환 등을 거치며 자산이 급증했다.
4위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으로 상반기 자산이 1조8348억원 늘어 총 5조5780억원이 됐다. 정 회장은 현대글로비스 무상증자 효과로 보유 지분 20%의 가치가 두 배 이상 뛰며 1조7000억원 넘게 증가했다.
정태순 장금상선 회장의 아들 정가현 시노코페트로케미컬 이사(7위)는 자산이 1조5392억원이 증가해 총 2조5335억원을 기록했다.
8위는 HD현대 최대 주주인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으로 자산이 1조821억 불어난 총 2조8807억원으로 집계됐다. 9위는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다. 상반기 동안 1조697억이 늘어 총 4조8497억원을 기록했다.
10위는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으로 상반기 9852억원이 더해져 1조7946억원을 형성했다. 부친 김승연 회장의 증여 등으로 ㈜한화 지분율이 4.64%에서 8.65%로 확대돼 5315억원이 증가한 데다 방산·조선 계열사 실적 개선으로 주가가 4배 가까이 뛴 효과도 반영됐다. 지분 50%를 보유한 비상장사 한화에너지 가치 역시 4493억원 늘어 전체 자산 증가를 뒷받침했다.
![]() |
한화가 삼남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부사장(3968억→9476억원, 15위)과 차남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3926억원→9117억원, 16위) 등도 이같은 증여 효과와 계열 분리 등으로 나란히 자산 증가 20위권에 들었다.
이밖에 최태원 SK그룹 회장(1조7163억→2조6904억원),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경영쇄신위원장(4조3604억→5조1645억원), 이재현 CJ그룹 회장(1조2422억원→2조164억원),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4조6037억→5조3039억원) 등이 자산 증가액 기준 11~14위에 올랐다.
또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3485억→7507억원, 17위), 최기원 SK 행복나눔재단 이사장(6401억→1조47억원, 18위),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1조1292억→1조4481억원, 19위),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3681억→6636억원, 20위)도 수천억대 자산을 불리며 2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자산이 크게 줄어든 이들도 있다. 감소액이 가장 큰 인물은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으로, 보유 지분(33.8%) 평가액이 25.2%(약 8301억원) 떨어지며 3조2980억원에서 2조4680억원이 됐다.
넥슨 창업자 고(故) 김정주 회장의 부인 유정현 엔엑스씨(NXC) 의장 자산도 2000억원 이상 줄어 2351억원을 기록했다.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은 건설 경기 침체 여파로 자산이 2022억원 감소해 총 2조5410억원으로 집계됐고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회장은 이마트 주식 278만7582주를 아들 정용진 회장에게 매도하며 자산이 1384억원 감소한 1627억원을 기록했다.
신영자 롯데재단 의장은 상속세 납부를 위해 롯데지주, 롯데칠성음료, 롯데쇼핑, 롯데웰푸드 등 계열사 주식을 잇따라 매각해 총 1182억원 줄며 530억원에 그쳤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은 비상장사 부영과 동광주택산업의 가치 하락으로 965억원 감소해 총 1조6329억원이 됐다.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의 핵심 당사자인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과 장형진 영풍 고문은 각각 759억원, 391억원이 줄어 자산 총 평가액이 3271억원, 7233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