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남 무안군이 광주 군 공항의 무안국제공항 통합 이전과 관련해 조건부이지만 '수용할 수 있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이는 이전 논의가 난항을 겪어온 상황에서 향후 협의가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기대감을 불러일으킨다.
무안군은 29일 발표한 '광주 군 공항 이전 관련 입장문'을 통해 "6자 협의체(TF) 참여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며 세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조건은 △광주 민간공항의 선(先) 이전 △광주시의 1조원 규모 지원 약속 이행 방안 제시 △국가 차원의 획기적 인센티브 제공이다. 군은 이 같은 요구안을 대통령실에 전달하고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무안군은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따른다"는 국정 철학을 언급하며 군 공항 이전으로 인해 소수 군민이 겪게 될 불이익이 무안군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군민 행복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보상책을 마련해 달라고 거듭 요청했다.
군은 우선 '광주 민간공항 선 이전'을 강조했다. 이는 2018년 체결된 3자 협약의 이행과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광주시의 결단과 시민들의 양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이는 신공항 건설이 아닌 국내선 기능 이전에 불과하므로 광주시와 국토부의 강력한 의지만 있다면 연말까지도 이전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광주시의 1조원 지원 약속 이행 방안 제시를 요구했다. 무안군은 지난해 6월 강기정 광주시장이 공식 석상에서 약속했음에도 구체적 실행 계획이 나오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특히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등 광주 현안에 막대한 재정이 필요한 상황에서 군 공항 이전 비용(10조원 이상 추산)까지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국가지원 인센티브에 대한 구체적 방안도 요구했다. 군은 "국가가 주도해 소음 피해를 넘어서는 파격적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면 군민 설득의 명분이 생길 것"이라고 했지만 현재까지 뚜렷한 대책이 없어 주민들을 설득할 근거조차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무안군은 또 이재명 대통령 주재 타운홀 미팅 직후 "6자 TF 참여 의사를 밝혔다"고 설명하며 일각에서 제기하는 무안군 불참 주장에 대해 "군민들에게 혼란을 주고 무안군의 위상을 실추시킬 우려가 크다"고 반박했다. 이어 "향후 불필요한 오해와 불미스러운 상황이 재발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