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기획재정부
/자료=기획재정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2.1%에서 2.0%으로 낮췄다 제시했다.
OECD는 21일(현지시간)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로 2.0%를 제시했다. 지난 9월 제시한 2.1%보다 0.1%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OECD는 올들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3월 2.6%에서 5월 2.4%로 잇따라 하향 조정했다.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 2.0%는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9년 0.8%를 기록한 이후 10년 만의 최저치다.


이는 한국의 수출과 투자가 글로벌 경기 둔화, 미·중 등 무역갈등에 따른 불확실성, 반도체 가격하락 등으로 둔화되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특히 주택투자의 경우 공급의 순환주기상 둔화에 더불어 정부의 대출규제로 인해 위축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소비의 경우 소비심리가 약화되고 민간일자리가 둔화돼 내구재 소비를 제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물가는 농산물가격 등의 영향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봤다.

OECD는 또 내년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2.3%로 예상하며 올해보다 성장률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2021년 성장률 전망치를 내년과 같은 2.3%로 예상하며 당분간 2%대 초반의 저성장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경제 성장률로는 올해와 내년 모두 2.9%를 제시했다. 세계 교역이 완만한 속도로 증가해 2021년에는 3.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글로벌 불확실성 지속에 따라 교역·투자 위축으로 선진국과 신흥국 전반적으로 성장 둔화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미·중 무역분쟁이 지속돼 세계 교역은 올해 1.2%로 위축된 뒤 내년 1.6%, 내후년은 2.3% 등 완만한 속도로 증가세가 확대될 것으로 봤다.

OECD는 우리나라가 이같은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구조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OECD는 “경쟁을 촉진하고 중소기업 역동성을 강화하는 규제개혁을 통해 특히 서비스업 분야의 생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