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아파트 매수자 중 20·30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대출금리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실수요자 비중이 높았던 젊은 층의 주택 매수 시기가 미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5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총 3만7124건의 5월 전국 아파트 매매계약 가운데 매수자가 30대 이하인 경우는 1만554건(28.4%)으로 나타났다. 이는 20·30세대 매수 비중이 27.2%를 차지했던 2020년 6월 이후 2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부터 아파트 시장이 위축되며 향후 집값의 방향성마저 불확실해지자 매수 열기가 식은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1기 신도시 특별법 등 규제 완화 공약을 내세웠지만 대선 이후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일부 공약의 중·장기 검토를 공표하는 등 속도 조절에 나선 것도 한몫했다. 특별법에 대한 기대감으로 뜨거웠던 분위기가 냉랭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30대 이하에서 매수세가 위축됐는데 이유는 무주택자 비율이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발표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30대 이하 인구 주택 소유율은 29.5%로 집계됐다. 이어 ▲40대(59.3%) ▲50대(63.6%) ▲60대(68.0%) 등 다른 인구 집단과 비교해 현저히 낮았다. 무주택자의 경우 불확실한 주택시장으로 인해 주택 구입 시기를 미루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전문가는 "금리 상승으로 앞으로 집값 추세가 불확실해져 젊은 층의 매수 비율이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며 "20·30세대의 매수세가 전과 같이 달아오를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