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가스 등 에너지에 이어 택시·버스·지하철 등 교통 요금이 잇따라 오르면서 5%대 고물가가 예상보다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12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공개한 '경제전망 수정 발표'에 따르면 올해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존 3.2%에서 3.5%로 0.3%포인트 상향됐다.
KDI는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도 3.3%에서 3.4%로 올렸다. 공공요금 인상의 파급 효과를 고려한 영향이다.
정부 당국은 1월에 이어 이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 초반을 이어갈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5.2%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를 기록한 이후 같은 해 11월과 12월 5.0%까지 둔화하면서 물가 상승세가 꺾이고 있다는 기대가 나왔다.
하지만 전기요금·상수도료 인상 등에 난방비 급증까지 합치면 정부발 공공요금 변수가 물가 상승 압력을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전기·가스·수도는 전년 동월 대비 28.3% 급등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최고치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서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는 2022년 7월 0.49%포인트에서 지난달 0.94%포인트로 확대되고 있다.
문제는 교통요금도 오른다는 점이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달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3300원에서 4000원으로 700원 올렸다.
서울시는 지난 1일부터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4800원으로 기존 대비 1000원 인상했다. 나주시도 같은 날 시내버스 요금을 평균 14.3% 상향했다.
다음달에는 경기도가 중형택시 기본거리를 2.0㎞에서 1.6㎞로 줄이고 기본요금을 3800원에서 4800원으로 1000원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는 오는 4월 지하철·버스요금을 300~400원 올리는 방안을 검토 증이다. 서울 지하철 기본요금은 1250원, 시내버스 기본요금은 1200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인상률은 20~30%에 이르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