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 전경. /사진=뉴시스
강남 아파트 전경. /사진=뉴시스
실거주 목적의 주택거래만 따로 통계를 내 부동산 지표로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주택 구입의 목적이 실거주인지 투자인지 알 수 있어 투기수요를 추측해볼 수 있을 전망이다.
13일 정부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국토연구원은 지난해 세미나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의 '주택거래 지표개선안'을 논의했다.

현재 국토부나 한국감정원을 비롯해 부동산114, KB국민은행 등 민간 정보업체는 아파트 거래량과 가격, 공급량, 실거래가 등 부동산 통계를 발표한다. 하지만 특정지역에 투기성 거래가 편중될 경우 거래량과 가격 등의 지표가 급상승해 실수요자의 불안을 조성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를테면 정부의 규제를 피한 비조정지역 등에서 일부 공인중개업소나 분양대행업체가 작전세력이 돼 집값을 올리고 불안해진 실수요자가 추격매수를 하는 식이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단순 통계를 재가공해 실수요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 안팎에선 한국감정원 등이 주간 주택가격동향의 발표 주기를 조정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아파트가격의 주간 변동률이 무의미하고 집값 추이가 투기심리를 부추기는 경향이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투자자가 올려놓은 집값은 결국 집이 필요한 실수요자가 잡을 수밖에 없다"며 "지나치게 오른 집값이 다시 조정기에 들어서 실수요자가 부담을 떠안는 구조"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