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 시행 6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위반사례가 끊이질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뉴스1 |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 시행 6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위반사례가 끊이질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동전화 불공정행위 신고포상제인 이른바 100억원에 육박했다.
유형별로는 허위과장 광고가 4797건(43.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원금과 연계한 개별 계약 체결(이용 약관과 별도로 지원금을 지급하고 특정 요금 및 부가서비스를 가입하게 하는 행위) 1098건(10%), 지원금 과다지급(불법보조금) 975건(8.9%) 순이었다.
폰파라치 신고 건수도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지난 2016년 896건이었던 포상 건수는 2020년 1226건으로 37%가 증가했다.
폰파라치 제도는 통신시장에서 불법·편법 영업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2013년부터 시행한 민간자율규제다. 포상 금액은 최소 30만원에서 300만원까지이다.
폰파라치의 포상 유형은 지원금 초과지급(불법보조금)이 5842건으로 가장 많았다. 또 대리점 혹은 판매점의 고가 요금제 및 부가서비스 가입 강요가 3647건에 달했다. 저가요금제에 가입할 경우 장려금을 차감하는 등의 차별 정책으로 소비자에게 비싼 요금을 물도록 한 것이다.
최근 5년간 폰파라치에게 지급된 포상금은 94억5351만원으로 5G 상용화 직후 5G 스마트폰 공짜폰 대란이 일었던 지난해가 33억 5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포상금을 받은 신고자 수는 854명으로 1인당 평균 392만원을 받았다.
김 부의장은 "단통법은 현재 이동통신 생태계와 맞지 않을뿐더러, 지하시장을 양성화해 이통사의 불필요한 경쟁과 소비자 피해를 가중하고 있다"며 "더 이상 모두가 휴대폰을 더 비싸게 사는 호갱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단통법 개정과 방통위의 철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폰파라치의 포상 유형은 지원금 초과지급(불법보조금)이 5842건으로 가장 많았다. 또 대리점 혹은 판매점의 고가 요금제 및 부가서비스 가입 강요가 3647건에 달했다. 저가요금제에 가입할 경우 장려금을 차감하는 등의 차별 정책으로 소비자에게 비싼 요금을 물도록 한 것이다.
최근 5년간 폰파라치에게 지급된 포상금은 94억5351만원으로 5G 상용화 직후 5G 스마트폰 공짜폰 대란이 일었던 지난해가 33억 5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포상금을 받은 신고자 수는 854명으로 1인당 평균 392만원을 받았다.
김 부의장은 "단통법은 현재 이동통신 생태계와 맞지 않을뿐더러, 지하시장을 양성화해 이통사의 불필요한 경쟁과 소비자 피해를 가중하고 있다"며 "더 이상 모두가 휴대폰을 더 비싸게 사는 호갱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단통법 개정과 방통위의 철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