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택배노조가 지난 7일부터 택배 노동자가 택배 분류작업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사진은 8일 오전 서울 한 택배물류센터에서 배송 준비 작업 중인 택배노동자. 사진 속 현장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뉴스1 |
택배노조는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차 사회적 합의에 따라 7일부터 택배 노동자가 택배 분류작업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출근을 2시간 늦춰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개인별 분류 물량만 사측에서 인계 받아 차량에 적재·배송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단체행동에 참여하는 인원은 노조 가입자 6500명이다. 이는 지난해 기준 전국 택배기사 수 약 5만4000여명 중 약 12%다.
택배 노동자가 문제점으로 지적한 택배 분류작업은 허브터미널(메인 거점)에서 서브터미널(지역별 거점)로 옮겨진 물품들을 운송장에 적힌 배송 지역으로 나누는 작업이다. 업계에서는 '까대기'라고도 하며 통상 오전 7시 전후부터 시작된다.
지난 2017년 출범한 택배노조는 택배 분류작업을 '공짜노동'으로 규정하며 거부해 왔다. 택배기사들의 주 업무는 집화·배송인데 건당 수수료를 받지 않는 분류작업이 더해지면서 업무 강도가 과하게 늘어난다는 것.
노동계는 택배 물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류작업 비중이 늘고 있고 이는 택배 노동자 과로사의 한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지난해 9월 발표된 '택배 노동자 과로사 실태조사'에 따르면 택배 노동자 1인당 평균 분류작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보다 35.8% 늘었고 전체 노동시간의 42.8%를 차지했다.
이에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을 위한 사회적 합의기구'는 지난해 1월 ▲택배기사 업무에서 택배 분류작업을 제외하고 ▲택배기사 작업시간을 제한하며 ▲심야배송을 금지하는 등의 내용에 합의했다.
하지만 택배노조는 택배기사들이 여전히 분류작업을 하고 있다며 업체들이 '분류작업 제외'를 지키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에 업체들은 분류인력 대부분이 단기 아르바이트생인 만큼 짧은 기간 안에 대규모 인력을 안정적으로 모으기 어렵다며 난색을 표한다.
분류작업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동분류장치인 '휠 소터'를 설치해야 한다. 자동화 물류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택배기사 5명이 했던 분류작업을 분류인력 1명에게 맡길 수 있기 때문.
문제는 휠 소터를 설치하기 위한 재원 마련이다.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어서다. CJ대한통운이 수년에 걸쳐 휠 소터와 ITS(바코드 인식기·Intelligent Scanner) 설치에 투입한 재원만 1400여억원이다. 이는 한해 영업이익 규모의 절반 수준으로 기업 입장에선 부담스러운 수준인 만큼 양측이 원만한 결과를 도출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