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지난 1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전주 101.9보다 0.3포인트 하락한 101.6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스1 |
2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지난 1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전주 101.9보다 0.3포인트 하락한 101.6으로 집계됐다. 지난 4월 19일 기록한 101.1 이후 약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의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이다.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고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는 의미다. 기준선인 100을 넘어 높아질수록 매수심리가 강하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해당 지수는 지난 8월 마지막 주 106.5에서 9월 첫 주 107.2로 오른 후 ▲13일 107.1 ▲20일 104.2 ▲27일 102.9 ▲10월4일 102.8 ▲11일 101.9 ▲18일 101.6 등 6주 연속 아래로 향하고 있다. 다만 28주 연속 기준선인 100을 웃돌고 있어 여전히 매도자 우위 상황이다.
집값이 고점에 가까워졌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가계대출 총량 규제가 이어지면서 매수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는 한국부동산원의 설명이다.
서울 5개 권역별로 보면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가 포함된 동북권이 102.5로 가장 높았다. 전주에 비해서는 0.2포인트 낮아졌다. 도심권(102.5→101.8), 서남권(102.3→101.9), 서북권(101.5→100.8)도 지난주 보다 하락했다. 강남3구가 포함된 동남권(100.5→100.4)이 5개 권역 가운데 가장 낮았다.
전국에서 매매수급지수가 100보다 낮아 매수자 우위 시장인 지역은 대구(97.1)와 세종(98.5)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지난 6월 첫째 주부터 20주째 100 아래다.
서울 전세수급지수는 102.3으로 지난주 102.9에 비해 0.6포인트 하락했다. 지난달 6일 106.0을 기록한 이후 6주째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