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바이러스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섞인 '델타크론' 변이가 미국과 유럽에서 발견됐다./사진=이미지투데이
코로나19 바이러스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섞인 '델타크론' 변이가 미국과 유럽에서 발견됐다./사진=이미지투데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새 변이가 등장했다. 델타와 오미크론 변이가 섞인 '델타크론' 변이가 미국과 유럽에서 발견됐다. 델타크론의 전염력이나 위험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다만 전문가들은 앞선 변이들만큼의 위험성은 아닐 것이라고 보고 있다. 

12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델타와 오미크론 변이가 혼합된 델타크론 변이 감염자가 미국과 유럽 등에서 감염자가 보고되고 있다.

10일 기준 국제 바이러스 시퀀스 데이터베이스에 보고된 델타크론 샘플은 프랑스 33건, 덴마크 8건, 독일 1건, 네덜란드 1건 등이다.

델타크론이 최초 발견된 건 지난 1월이다. 당시 바이러스의 바탕은 델타인데 오미크론 돌연변이 요소가 섞인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당시 세계보건기구(WHO) 전문가와 일부 과학자들은 실험실 오염으로 인한 오류라고 일축했다.

하지만 지난달 워싱턴DC 공중보건연구소의 과학자 스콧 은구옌 박사가 국제인플루엔자정보공유(GISAID)에 제출된 프랑스의 코로나19 샘플을 조사하던 중 델타크론을 발견하면서 델타크론이 실재한다는 점을 공식 확인했다. 

두 개의 변이에 한번에 감염된 환자에게서 나온 것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분석 결과 동시 감염이 아닌 두 가지 변이(델타·오미크론)로부터 나온 유전자 조합을 지닌 것으로 바이러스가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NYT는 감염 사례가 지금까지 50여건에 불과하고 확산하는 능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면서 아직까지 크게 우려할 만한 변이는 아니라고 전했다. 

델타크론의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가 대부분 오미크론에서 유래됐다는 점도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낮추는 이유다. 감염 또는 백신을 통해 생성된 항체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주요 표적으로 삼는 만큼 오미크론에 대한 항체를 지난 사람들은 델타크론에도 보호 능력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또 오미크론의 특성을 지닌 만큼 중증으로 이어질 확률도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미크론의 스파이크 단백질은 코나 상기도에 쉽게 침투해 전파력은 높지만 폐 깊숙한 곳으로는 침투하지 못해 중증화로 이어지지 않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