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게재 순서
①잘 팔리는 수입차, 돈 버는 주머니 따로
②수입차 할부금융 주무르는 손, 모두 해외 법인
③수입차 구매, 직접 상담해보니… "현혹되지 마세요"
①잘 팔리는 수입차, 돈 버는 주머니 따로
②수입차 할부금융 주무르는 손, 모두 해외 법인
③수입차 구매, 직접 상담해보니… "현혹되지 마세요"
국내에서 전용 할부금융상품을 운용하는 수입차업체는 모두 해외 본사 등 현지 법인의 지배를 받는다. 국내에 할부금융상품 관련 법인을 세운 수입차 업체들은 해외 본사 등 지배기업에게 저리로 자금을 빌려 국내에 들여온 뒤 수입차를 구매하려는 소비자를 상대로 고금리 할부장사를 해 고수익을 올린다. 여기서 거둔 수익은 다시 자금을 빌려 준 해외로 빠져나가며 국내 수입차업계를 쥐락펴락한다. 이들은 매년 수 백억원의 이자 수익도 거두며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국산차업계보다 2배 높은 이자율
수입차 업체의 전속 금융업체까지 두고 고금리 장사를 하는 이유는 말 그대로 돈이 되기 때문이다. 최근의 국내 자동차시장은 현대자동차·기아 등 국산차만 타던 시절은 이미 지난 지 오래다. 게다가 다양한 업체의 수입차가 다양한 가격대로 형성돼 소비자 입맛에 따라 선택하기 더 수월해졌다. 비싼 수입차 구매를 과시의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성향이 짙어진 시대상도 이 같은 대중화 확산에 힘을 보탰다.시대가 바뀌고 수입차의 대중성이 확대되며 구매의 문턱도 낮아졌지만 그 이면에는 이른바 '카푸어'를 양산하는 수입차 할부금융업체의 미끼가 숨어 있다. 이들은 소비자의 다양한 입맛을 공략한다는 명분을 앞세워 전용 할부금융상품으로 구매를 유도한다. 수입차 업체와 차종별로 다르지만 대체로 차를 팔 때 선수금 1000만원 기준 연간 5%~10% 수준의 고금리가 책정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입차업체들은 고객이 할부로 차 구매를 원할 경우 관계사인 전용 할부금융업체를 연결시켜준다. 고객이 선수금이 있으면 이를 뺀 나머지 금액을 전용 할부금융업체를 통해 빌려 내도록 유도한다. 이후 고객은 이 업체에서 높은 금리의 이자와 함께 원금을 갚게 된다. 차를 살 때는 싸게 사는 것 같지만 결국 돈을 더 부담해야하는 구조다.
국산차 업체들이 한국은행 기준금리에 따라 할부금리를 변동시키는 것과 달리 수입차 업체는 할부금리를 변동시키지 않고 자체 기준으로만 운용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최근 수입차 구매 상담을 받은 한 소비자는 "모 수입차업체에서 전용 할부금융상품을 이용하면 출고 일정을 앞당겨 줄 수 있다는 제안도 받은 적 있다"며 "살 때는 싼 값에 사는 것 같지만 꼼꼼히 따져보면 결국은 차 가격에 수 백만원을 더 부담해야 하는 구조라 제안을 거절했다"고 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수입차 업체들의 전용 할부금융상품은 국산차 업체들보다 최대 2배 이상 비싸 폭리 수준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
수입차 할부금융 뒤에 숨겨진 힘 '해외법인'
'고금리 이자놀이' 라는 비판을 받는 수입차 전용 할부금융업체는 모두 해외 법인의 지배를 받고 있다. 이들은 해외 법인으로부터 저리로 자금을 융통 받아 국내 소비자에게 고금리로 차를 계약하게 유도한 뒤 여기서 거둔 수익은 다시 해외 법인으로 되갚는 구조다. 국내 수입차 전용 할부금융업체의 막대한 수익을 책임지는 든든한 배후인 만큼 이들을 거느린 각 해외 법인들은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메르세데스-벤츠 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벤츠 파이낸셜)는 2002년 9월 설립됐다. 최대주주는 지분 80%를 보유한 독일 소재 '메르세데스벤츠아시아 GMBH'이고 나머지 20%는 홍콩계 딜러사 스타오토홀딩스가 갖고 있다.
벤츠파이낸셜은 과거부터 운영자금 주요 융통 수단으로 해외법인의 차입금을 활용했다. 차입금은 외부 금융사 외에 해외에 소재한 특수관계자를 통해 매해 수 천억원을 조달했다.
'메르세데스벤츠아시아 GMBH'를 소유한 독일 다임러 AG가 자금 대여에 중요한 역할을 맡았고 2019년부터는 그룹 내 조직 변경을 기점으로 네덜란드 소재 특수관계법인 다임러인터내셔널파이낸스를 설립, 관계사들에게 본사 차입금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총 차입금 규모는 약 9700억원이며 이자율은 약 1.10~1.88%다.
2001년 7월에 설립된 BMW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BMW 파이낸셜)도 본사 등 특수관계자를 활용해 운영자금을 마련한다. 차입금 규모가 가장 큰 곳은 BMW 파이낸셜의 지분 100%를 소유한 네덜란드법인(BMW Holding B.V)이다. BMW파이낸셜은 최상위 지배회사인 BMW홀딩스B.V.로부터 지난해 차입금 2조4735억원을 0.10~0.56% 저금리로 끌어왔다.
2010년 7월 설립돼 1년여의 준비기간을 거쳐 2011년 9월부터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한 폭스바겐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폭스바겐 파이낸셜)도 지분 100%를 보유한 최상위 지배회사인 폭스바겐파이낸셜서비스AG로부터 자금을 조달한다. 폭스바겐파이낸셜의 지난해 차입 부채는 1조3267억원이며 이자율은 1.9%대다.
이밖에 벤츠·포르쉐·람보르기니 등을 품은 말레이시아 화교계 라우 가문이 최대주주인 레이싱홍도 국내 수입차업체에 거미줄 지배력을 구사함과 동시에 전용 할부금융업체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